용산 '특별재난지역' 선포...정부, 유족·부상자 구호금 지원

입력
2022.10.30 17:00
수정
2022.10.30 21:27
10면
구독

11월 5일까지 '국가애도기간'...검은 리본 패용
"외국인 사상자, 재외공관 협력해 지원하겠다"
복지장관 "지자체, 의사협회와 협력 밀착 지원"

한덕수 국무총리가 30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검은 리본을 패용한 채 이태원 참사 관련 정부 대응방안을 브리핑하고 있다. 뉴스1

한덕수 국무총리가 30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검은 리본을 패용한 채 이태원 참사 관련 정부 대응방안을 브리핑하고 있다. 뉴스1

'이태원 핼러윈 참사' 직후 정부는 11월 5일까지를 국가애도기간으로 지정했다. 이태원을 관할하는 서울 용산구는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3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 결과를 발표했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오전 2시 30분쯤 한 총리를 본부장으로 한 중대본을 즉시 가동하고, 오전 10시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에서 중대본 회의를 열어 전날 밤 발생한 이태원 참사 상황과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한 총리는 "오늘(30일)부터 11월 5일 24시까지 국가애도기간으로 정해 사망자에 대한 조의를 표하기로 했으며 서울시 등에 합동 분향소를 설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애도기간에는 모든 공공기관과 재외공관에 조기를 게양하고, 공무원과 공공기관 직원들은 추모 리본을 패용한다. 이 기간 각 부처와 지자체, 공공기관은 시급하지 않은 행사는 연기하고, 부득이한 경우에만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서 행사를 치를 방침이다.

정부는 사고 지역인 용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다. 이에 따라 사망자 유족과 부상자에 대한 구호금, 정부합동분향소 설치ㆍ운영 비용 등이 국비로 지원된다. 한 총리는 "사망자에 대해서는 보건복지부, 서울시 등과 합동으로 장례지원팀을 가동하고 부상자 치료에 총력 대응할 것"이라며 "부상자 가족 등에 대한 심리치료를 위해 국가트라우마센터 내에 '이태원 사고 심리팀'을 구성ㆍ운영하겠다"고 말했다. 외국인 사상자에 대해서는 재외공관과 적극 협의해 필요한 지원이 이뤄지도록 했다.

한 총리는 "중대본은 모든 사안이 제대로 수습되고, 국민들이 만족할 만한 제도적 개혁이 이뤄질 때까지 존치할 것"이라며 "우선 관계부처 협동을 통해 장례 절차와 부상자에 대한 지원 대책 등을 총괄적으로 지원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 총리는 이날 오후 국립중앙의료원와 서울대병원 등을 방문해 부상자를 위로하고 의료진을 격려한 뒤 중대본 회의를 소집해 대처상황을 추가로 점검했다. 정부는 이 자리에서 외국인 사망자 유가족의 입국 편의를 위해 인천공항에서 도착비자를 발급하기로 했다.

한편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응급실 과부가 우려는 없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지금 부상자와 사망자는 수도권 59개 병원에 분산 배치돼 있다"며 "부상자에 대해서는 공무원, 지자체, 의사협회 등과 협력해 밀착 지원할 예정"이라고 답변했다. 조 장관은 "42개 장례식장에 분산 안치돼 있는 사망자에 대해서는 지금 서울시에서 2인 1조로 팀을 구성해 지원하고 있다"며 "복지부, 장례문화진흥원에서도 같이 지원해 차질 없는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민순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