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형 재도입"·체포 위협에도… 계속되는 러시아 내 '전쟁 반대' 목소리

입력
2022.02.27 10:21
수정
2022.02.27 11:19
17면
구독

반전 온라인 청원에 78만명 몰려
당국 "사형제 부활할 수도" 으름장

26일 크로아티아 자그레브에서 열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반대 시위에서 한 여성이 우크라이나 국기를 몸에 두르고 있다. 자그레브=AFP 연합뉴스

26일 크로아티아 자그레브에서 열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반대 시위에서 한 여성이 우크라이나 국기를 몸에 두르고 있다. 자그레브=AFP 연합뉴스

지구촌 곳곳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규탄하는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 가장 격렬한 시위는 러시아 내부에서 나오고 있다. “사형제를 다시 도입할 수 있다”는 당국의 협박에 가까운 경고에도 시민들은 체포를 불사하며 평화를 외치고 있다.

26일(현지시간) AP통신 등에 따르면, 러시아에서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침공을 결정한 지난 24일부터 사흘 연속 반전 시위가 진행되고 있다. 이날 수도 모스크바와 제2 도시 상트페테르부르크에는 수천 명이 “전쟁에 반대한다” “침묵하지 말라” 등의 팻말을 들고 거리로 나왔다.

전날까지 이틀간 2,500명이 넘는 시위 참가자가 체포됐지만 이들의 움직임은 멈추지 않았다. 정치범 체포를 감시하는 러시아 비정부기구(NGO) ‘OVD-인포’는 이날 34개 도시에서 적어도 492명의 반전 시위 참가자가 체포됐다고 전했다. 이 가운데 모스크바에서 체포된 사람이 절반 정도다. 지난 사흘간 러시아 전역에서 3,000명을 웃도는 사람들이 반전 시위로 붙잡힌 셈이다.

의료계, 문화계, 스포츠계 등 각계의 비판 행렬도 이어졌다. 이날 6,000명 넘는 러시아 의료계 종사자들이 전쟁 반대 서한에 이름을 올렸고 건축가와 엔지니어 3,400명, 교사 500명도 각각 서명했다. 언론인과 지방의회 의원, 문화계 인사와 다른 직능 단체도 지난 24일 이후 비슷한 서한을 내놓고 있다. 모스크바에 있는 유명 현대 미술관 ‘개러지’는 우크라이나의 비극이 끝날 때까지 전시를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반전 여론은 온라인과 해외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우크라이나에 대한 공격을 멈추라는 온라인 청원에는 24일 오전부터 이날 저녁까지 78만 명이 서명했다. 심지어 러시아의 침공에 앞서 우크라이나 동부의 친러시아 반군이 장악한 2개 지역의 독립을 승인하는데 표를 던졌던 일부 의회 의원마저도 침공을 비난하고 나섰다. 이날 미국 워싱턴과 프랑스 파리, 영국 런던 크로아티아 자그레브 등에서도 러시아 규탄 시위가 이어졌다.

그러나 러시아 당국은 꿈쩍도 하지 않는다. 오히려 반전 움직임에 더욱 강경하게 대처하고 있다.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국가안보회의 부의장은 러시아가 1996년 이후 유예하고 있는 사형 제도를 되살릴 수 있다고 경고해 러시아 내 인권 활동가들을 충격에 빠뜨렸다. 인권단체 회원인 에바 메르카체바는 이를 ‘재앙’이라고 부르면서 “중세로 돌아가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러시아 언론 규제 당국은 자국의 우크라이나 공격을 ‘침공’ ‘선전포고’ 등으로 표현하거나 우크라이나 민간인 사망을 다룬 독립언론들의 보도를 삭제하라는 지시도 내렸다.

러시아의 인터넷 이용자들은 이날 페이스북과 트위터 접속 장애를 호소했다. 이들 사회관계망서비스(SNS)는 지난 수년간 러시아에서 정권에 비판적인 여론을 증폭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해왔는데, 반전 목소리 확산을 우려한 정부가 접근을 차단한 것 아니냐는 의심도 나오고 있다.

허경주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