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정부, 우크라 체류 63명 안전 확보 최우선... "서방 편 선 것 아냐" 원론 입장

입력
2022.02.22 21:50
2면
구독

생활기반 탓 국민 30명 이상 남을 수도
대사관 철수 않고 대피 지원 계속 예정
文 "평화적 해결" 촉구... 러 '규탄' 피해

21일(현지시간) 친러시아 반군이 통제하는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에 러시아군 탱크가 진입하고 있다. 도네츠크=로이터 연합뉴스

21일(현지시간) 친러시아 반군이 통제하는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에 러시아군 탱크가 진입하고 있다. 도네츠크=로이터 연합뉴스

우크라이나의 무력충돌 가능성이 최고조에 달하면서 정부도 우리 국민 안전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상당수가 안전지대로 피신했지만, 아직 63명이 체류하고 있어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정부는 미국과 러시아, 어느 한쪽을 두둔하는 대신 “평화적 해결”을 촉구하며 사태 추이를 주시하고 있다.

22일 외교부에 따르면, 21일(현지시간) 기준 우크라이나에 머물고 있는 한국민은 63명이다. 공관원과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는 크림지역 교민 10명을 제외한 숫자다. 직업별로는 선교사 14명, 유학생 4명, 자영업자 및 영주권자 등 45명으로 집계됐다. 현재 우크라이나 전역에는 여행경보 4단계(여행금지)가 발령돼 있다.

현지 체류자는 지난달 25일(565명)과 비교해 크게 줄었다. 충돌 가능성이 커지면서 정부가 우크라이나에 대한 여행경보를 3단계로 상향 조정하자 교민들이 속속 빠져 나온 덕분이다. 다만 남은 63명의 경우 철수가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30명 정도는 현지인과 결혼해 자녀를 뒀거나 우크라이나에 생활기반을 마련해 잔류를 고집하고 있다”고 말했다. 철수 의사를 밝힌 나머지 인원 중 일부도 건강상 이유 등으로 즉시 출국이 어렵다고 한다. 외교부는 이번 주 안에 10여 명이 추가 철수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의 대응 움직임은 한층 빨라졌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국가안전보장회의(NSC) 회의를 직접 주재하며 “가장 중요한 재외국민 보호에 최선을 다하라”고 지시했다. 특히 주우크라이나대사관은 인력 철수 없이 교민 대피 지원 및 설득 작업을 지속할 방침이다. 대사관은 이날 홈페이지에 “차량 지원이 필요할 경우 임차 또는 대사관 차량을 제공하겠다”는 공지를 올렸고, 우크라이나와 폴란드 접경 지역에 임시사무소도 설치했다.

정부는 이번 사태와 관련해 “우크라이나의 주권 및 영토보전을 지지하며, 당사자들은 국제법과 민스크협정을 존중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냈다. 문 대통령도 NSC 회의에서 “세계 각국은 우크라이나 문제가 조속히 평화적으로 해결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러시아 ‘규탄’과 ‘제재’를 주장하는 미국에 보조를 맞추지 않고, 원론적 언급을 통해 사태 진행 상황을 좀 더 지켜보겠다는 의중이 담겨 있다. 정부 관계자 역시 “우리가 서방 편에 선 것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이는 러시아도 한반도 정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당사국인 만큼, 최대한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정부는 2014년 러시아가 크림반도를 합병할 때도 러시아를 직접 규탄하기보다 “심각한 우려” “병합 불인정” 등 서방의 기본 입장을 따라가는 데 중점을 뒀다.

정준기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