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루간스크 가스관 폭발·화재… 친러 분리주의 반군, "러시아로 주민 대피"

입력
2022.02.19 10:27
수정
2022.02.19 18:02
구독

푸틴, 난민 1인당 15만원 지원 지시
OSCE, "돈바스 전선 휴전위반 사례 급증"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의 스타니치아 루간스크의 한 유치원이 17일 포격을 받아 파손된 모습. 루간스크=AFP 연합뉴스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의 스타니치아 루간스크의 한 유치원이 17일 포격을 받아 파손된 모습. 루간스크=AFP 연합뉴스

우크라이나 동부 분쟁지역인 루간스크 가스관에서 큰 폭발로 화재가 발생했다. 우크라이나는 침공명분을 쌓기 위한 러시아의 공작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의 친러 분리주의 반군은 우크라이나와의 분쟁을 이유로 주민들을 러시아로 대피시키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동부의 분쟁 상황을 명분으로 삼은 러시아의 침공 우려가 커지는 모양새다.

18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러시아 RIA 통신을 인용해 우크라이나 동부 루간스크 주의 드루즈바 가스관에서 이날 오후 폭발이 일어난 뒤 불이 났다고 전했다. 러시아 인테르팍스통신도 현지 천연가스 공급업체 등을 인용해 해당 가스관에서 '강력한 폭발'이 일어났다고 보도했다.

드루즈바 가스관은 러시아에서 출발해 동유럽과 중앙유럽 지역의 여러 국가로 이어지는 국제 가스관이다. 러시아 매체들은 이 가스관에서 폭발이 있은 지 40분 뒤 두번째 폭발이 있었다고 보도했는데, 인명피해는 아직 전해지지 않았다. 스푸트니크 통신은 현지 통신원을 인용해 가스관에 난 불은 거의 진화됐다고 전했다.

우크라이나는 이 화재가 침공 명분을 쌓기 위한 러시아의 공작이라고 주장했다. 우크라이나 정보·보안기관인 보안국(SBU)은 사회 관계망 서비스(SNS)에 올린 글에서 러시아군 특수부대가 친러 반군 점령지역인 동부 도네츠크 주의 다수 시설에 폭발물을 설치했다는 정보를 입수했다고 밝혔다. 이어 SBU는 “(반군에) 일시 점령된 우리 국토의 상황을 불안정하게 하고, 우크라이나가 테러 행위를 저질렀다고 덮어씌울 근거를 만들려는 것"이라 주장했다. 러시아는 이와 관련한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한편 돈바스 지역의 친러 분리주의 반군은 우크라이나군의 공격 위험을 이유로 주민들을 러시아로 대피시키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러시아 관영 타스통신에 따르면 자칭 '도네츠크 인민공화국'(DPR)의 수장 데니스 푸실린은 이날 동영상을 통해 "역내 긴장 고조 때문에 주민들을 인접한 러시아 남부 로스토프주로 대피시키고 있다"며 “먼저 여성과 아이, 고령자들이 이송 대상"이라고 밝혔다.

돈바스 지역의 자칭 '루간스크 인민공화국'(LPR)의 수장 레오니트 파세치니크도 관내 주민들에게 최단시일 내에 러시아로 떠날 것을 촉구했다고 밝혔다. 그는 "무고한 주민 희생을 피하기 위해 징집대상이 아니고 사회기간시설 근무자가 아닌 주민들은 최단시일 내에 러시아 영토로 떠나라"고 주문했다.

DPR·LPR의 주민 대피 결정 발표는 지난 16일부터 두 친러 분리주의 반군과 우크라이나 정부군 간에 무력 충돌이 발생한 것으로 알려진 뒤 이뤄졌다. 반군은 정부군이 반군 지역 마을을 박격포, 유탄발사기, 기관총 등으로 공격했다고 주장했다. 반면 우크라이나 정부는 반군이 먼저 정부군 진영을 공격했지만, 도발에 말려들지 않기 위해 대응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돈바스 난민 1인당 1만 루블(약 15만원)씩을 지불하는 지원 조치를 마련하라고 정부에 지시했다고 크렘린궁이 전했다. 푸틴은 또 재난당국인 비상사태부 수장 알렉산드르 추프리얀에게 난민들이 이주한 것으로 알려진 로스토프로 내려가 즉각 난민 지원 조치를 시행하라고 지시했다.

한편 돈바스 지역의 휴전 상황을 감시하는 유럽안보협력기구(OSCE) 특별감시단은 지난 16~17일 전선을 따라 군사 활동이 급증했다고 밝혔다. 감시단에 따르면 17일 하루 동안 루간스크 지역에서 222회, 도네츠크 지역 648회 등 870회에 달하는 휴전 위반 사례가 파악됐다. 이는 각각 189회, 129회 등 318회로 보고됐던 이틀 전 상황보다 악화한 것이다.

김청환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