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흑형'은 차별 55%, 'O린이'는 차별 아냐 78%...어린이는 미숙하다는 편견

입력
2022.01.29 04:30
20면

시각물_특정 집단에 대한 혐오 표현을 들어본적 있다

시각물_특정 집단에 대한 혐오 표현을 들어본적 있다


시각물_혐오 표현이라고 생각한다

시각물_혐오 표현이라고 생각한다


시각물_사실 여부를 떠나 써서는 안 되는 표현이다

시각물_사실 여부를 떠나 써서는 안 되는 표현이다


“무럭무럭 자라서 ‘주린이’ 탈출해야죠.” “주린이를 위한 필독서”, “요린이를 위한 꿀팁”...

처음 저 표현을 접했을 때 ‘참 재치 있다. 귀여운 신조어네…’라고만 생각했었다. 그런데 얼마 전 5살 아들의 말을 듣고 그런 생각을 했던 스스로가 부끄러웠다. 신발을 신겠다며 낑낑대던 아이는 도와주겠다는 내 제안을 정중히 거절하며 말했다. “엄마, 잠깐이면 돼. 조금 걸려도 내가 잘할 수 있어.”

어린이는 어린이로서의 품위를 지키고, 존중받고 싶어 한다는 어느 책의 글귀처럼, 우리는 어린이를 불완전하고 미성숙한 대상으로만 ‘대상화’하는 것에 대해서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특징을 재치 있게 빗댄 거니까’, ‘귀엽고 친근하게 표현한 것이니까’ 괜찮은 것일까? 이번 기획조사는 어린이가 우리 사회에서는 어떤 존재인지, ‘혐오‧차별’ 대 ‘표현의 자유’ 그 경계에 대한 궁금증에서 시작하였다. 지난해 12월 24~27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어린이를 포함한 특정 집단에 대한 혐오‧차별 표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아보았다.


혐오‧차별이 ‘개인의 자유’와 상충할 때는 대상에 따라 민감도 달라

특정 집단에 대한 다양한 혐오‧차별 표현을 제시하고, 해당 표현들은 들어본 적 있는지, 예시로 제시된 표현들이 특정 집단을 ‘혐오하는 표현’이라고 생각하는지, 그리고 ‘사실 여부와 관계없이 절대 사용해서는 안 되는 표현’이라고 생각하는지 물었다. 그 결과, 여성, 장애인, 인종, 특정 연령에 대한 혐오‧차별 표현을 들어본 적 있다는 응답이 80% 이상으로 다른 집단에 비교했을 때 노출된 정도가 높았다.

혐오‧차별 표현 자체에 대해서도 모든 표현에서 혐오‧차별이라고 답한 응답이 80% 이상으로, 전반적으로 민감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사실 여부를 떠나 이런 표현을 써서는 안 된다’라는 응답 역시 특정 종교에 대한 표현을 제외하고는 80% 이상으로 나타나, 혐오 표현에 대해 거부하며 수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사회에서 만 18세 이상의 시민들은 일상에서 혐오‧차별 표현에 대해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는데 반해, 혐오‧차별에 대해 민감하게 받아들이고, 해당 내용에 대해 수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혐오‧차별이 개인의 자유와 상충할 때는 어떻게 생각할까? 사업주가 특정 조건으로 가게에 입장을 제한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차별의 대상이 되는 집단이 누구인지에 따라 ‘차별’ 대 ‘개인의 자유’ 의견이 달라졌다. 장애인, 출신 지역, 경제적 상태, 외모‧신체적 조건에 따라 입장을 제한하는 것에 대해서는 ‘차별이다’라는 응답이 84% 이상인데, 70세 이상 출입 불가, 7세 이하 출입 불가 등 특정 연령에 입장을 제한하는 것에 대해서는 ‘차별이다’라는 응답이 60%로 낮아졌다.


시각물_아래와 같은 조건으로 입장을 제한 하는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시각물_아래와 같은 조건으로 입장을 제한 하는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노·중년존은 특정 나이를 이유로 차별하는 것"... 노키즈존에 대해선 관대

어떤 연령에 대한 혐오‧차별의 문제보다 개인의 자유가 우선한다고 생각한 것일까? 노키즈존과 노·중년존은 특정 나이에 해당하는 사람의 입장을 제한하는 차별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는데, 노키즈존과 노·중년존에 대해 사람들은 각각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노키즈존과 노·중년존은 노출도 자체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2010년 이후부터 생겨난 노키즈존의 경우 들어본 적 있다는 응답이 69%인데 반해, 지난해 처음 생겨난 노·중년존은 들어본 적 있다는 응답이 24%에 그쳤다. 노키즈존 자체에 대해서는 ‘특정 나이를 이유로 혐오하는 것이다’라는 응답이 37%, ‘특정 나이를 이유로 차별하는 것이다’라는 응답이 44%에 그쳤으나, 노·중년존에 대해서는 ‘혐오하는 것이다’라는 응답이 60%, ‘차별하는 것이다’라는 응답이 68%에 달했다. 노키즈존에 대해서는 ‘사실에 입각했다면 No라는 말을 특정인에게 붙여도 문제 되지 않는다’, ‘사업주의 영업의 자유이다’라는 응답이 50%가 넘는데, 노·중년존에 대해서는 상반된 결과가 나타났다. 노·중년존은 아직 익숙하지 않은 신조어이기 때문에 이런 상이한 결과가 나타난 것일까? 아니면 정말 어린이는 시끄럽고 성숙하지 않은 존재라는 사실에 입각했고, 노·중년존은 사실이 아니기 때문에 결과가 다른 것일까? 어쩌면 어린이라는 존재가 좀 더 대하기 쉬운 것일까?


시각물_‘노키즈존’과 ‘노중년존’을 들어본 적 있다

시각물_‘노키즈존’과 ‘노중년존’을 들어본 적 있다


시각물_‘노키즈존’과 ‘노중년존’ 에 대한 생각

시각물_‘노키즈존’과 ‘노중년존’ 에 대한 생각


시각물_‘노키즈존’과 ‘노중년존’ 혐오·차별 YES or NO

시각물_‘노키즈존’과 ‘노중년존’ 혐오·차별 YES or NO


"흑형 표현은 인종차별"… "O린이는 어린이 차별 아니냐"

이번에는 신조어 ‘흑형’과 ‘O린이’를 비교해 보았다. 두 신조어는 대상의 특징을 친근하고 재미있게 표현해 유행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는데, 두 신조어에 대해 각각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두 신조어 모두 들어본 적 있다는 응답이 60% 이상으로 노출도 측면에서는 유사하였다. 그렇다면, 각각의 표현에 대한 생각도 비슷할까? O린이는 차별적인 표현이라는 응답은 22%에 그친 반면, 흑형은 차별적인 표현이라는 응답은 55%에 달해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해당 표현이 혐오인지에 대해서는 O린이에 대해서는 18%, 흑형에 대해서는 44%가 혐오 표현이라고 응답했다. 특징을 재미있게 표현한 것일 뿐이라는 응답은 O린이에서는 79%로 흑형(55%)보다 24%포인트나 높았다. 노키즈존, 노·중년존의 결과와 달리 노출된 정도에 차이가 크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O린이와 흑형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분명히 있었다.


시각물_‘O린이’과 ‘흑형’을 들어본 적 있다

시각물_‘O린이’과 ‘흑형’을 들어본 적 있다


시각물_‘O린이’과 ‘흑형’ 에 대한 생각

시각물_‘O린이’과 ‘흑형’ 에 대한 생각


시각물_‘O린이’과 ‘흑형’ 혐오·차별 YES or NO

시각물_‘O린이’과 ‘흑형’ 혐오·차별 YES or NO


‘어린이’에 가해지는 혐오‧차별 문제 깊이 성찰해봐야

두 조사 결과를 종합하면, 우리 사회는 어린이에 가해지는 혐오‧차별이 될 수 있는 표현이나 행위에 대해 덜 민감하게 인식하고, ‘그럴 수도 있는 것’ 혹은 ‘할 수 있는 말’로 수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요약에 대해 누군가는 응답자의 다수가 혐오‧차별이 아니라고 생각하는데 굳이 왜 문제가 되는지 반문할지도 모른다. 노키즈존은 ‘시끄럽고 피해가 있는 게 사실이니 사업주의 영업 자유일 뿐’, O린이는 ‘그저 재밌는 유머’일 뿐인데 어째서 차별이냐고 말이다.

하지만 국가인권위원회는 2017년 노키즈존에 대해 "특정 연령으로 입장을 일률적으로 제한하는 것은 합리적인 이유가 없는 차별행위"라고 판단한 바 있다. 유엔 아동권리위원회는 2013년 "식당, 공원, 쇼핑몰 등 아동의 출입 제한 조치는 아동을 ‘문젯거리’, ‘문제아’라는 인식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아동에 대한 배제는 아동이 시민으로서 성장하는 데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우려를 표했다.

O린이라는 표현도 마찬가지이다. 이완정 인하대 아동심리학과 교수는 O린이라는 단어를 어른뿐만 아니라 어린이도 듣게 되며, 이는 아동에게 자신이 나약한 존재라는 부정적인 자아상을 갖게 하여 아동의 권리를 침해하고, 아동에 대한 차별과 혐오를 강화시키는 문제가 있다고 우려를 표한 바 있다. 홍성수 숙명여대 법학부 교수 역시 지난해 5월 한국일보와의 인터뷰에서 “O린이를 비하하는 의도를 갖고 쓰는 경우는 없겠지만, 어린이가 마치 모든 문제에 있어서 미숙하고 초보자라는 인식을 주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어린이도 엄연한 인격적 주체로서 그 인권을 존중받아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미숙하고 불완전하다는 편견을 강화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렇게 생각해보는 것은 어떨까? 식당이나 카페에서 특정 연령을 조건으로 ‘No’를 붙이는 것, 노·중년, 노키즈 모두 업소들의 분명한 피해 사실로부터 시작된 점은 같다. 그런데 왜 중년에 대해서는 일반화하여 차별하면 안 되지만 어린이에 대해 일반화하여 차별하는 것은 괜찮은 것일까? '흑형도 O린이도 특징을 재미있게’라는 시작은 같다. 그런데 흑인에 대한 편견을 조장할 수 있기 때문에 흑형은 차별적 표현이지만, 왜 O린이는 편견 조장이 아닌 단순한 유머일까? 노키즈존, O린이에 대한 논의는 어린이라는 엄연한 우리 사회의 구성원에 대한 편견과 배제라는 차원에서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어린이를 ‘불완전하고 미숙한 존재’로 대상화하여 편견을 조장하는 것, 쉽사리 특정 구성원을 배제하는 것에 대해서 말이다. 어쩌면 괜찮다고 많은 사람들이 인식하는 이 표현에 대해 더 경계하고 살펴야 하지 않을까?

전혜진 한국리서치 여론본부 책임연구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