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오미크론 우세종 됐는데 방역 대응 너무 느리다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변이종으로 전파력이 기존 델타에 비해 3배 정도 강한 오미크론의 지난 주 전국 검출률이 50.3%로 국내 우세종이 됐다. 오미크론을 먼저 겪은 해외 사례를 보면 이 변이종은 순식간에 두 배씩 확진자가 폭증하는 전파 경향을 보인다. 24일 확진자는 7,513명으로 월요일 기준 역대 최고치다. 주말 영향으로 통상 월요일 확진자가 30% 정도 적은 것을 감안하면 하루 1만 명을 넘었다고 봐도 무방하다.
오미크론은 무증상이나 경증 환자가 많은 데다 젊은층의 경우 독감 정도로 여길 수 있다고 하지만 섣불리 안심하긴 이르다. 중증환자가 적고 치명률이 낮다고 하더라도 확진자 숫자가 그를 상쇄할 정도로 늘어나면 결국 중증환자 발생은 크게 달라지지 않을 수 있다. 대통령이 선제적이고 일사불란한 대응을 주문하고, 총리가 가능하다면 설 연휴 이동을 자제해 달라는 대국민담화를 발표한 것도 이 때문이다.
정부가 내놓은 중증환자 치료 중심의 새 방역 체계는 방향이 틀리지 않다. 하지만 당초 하루 7,000명 확진 때 도입한다던 설명은 7,000명 수준으로 평균적 추세가 형성되기 시작하면으로 슬그머니 바뀌었다. 저위험군 검사와 무증상·경증 환자 치료를 맡을 호흡기전담클리닉은 여전히 무엇을 어찌해야 할지 모르는 곳이 수두룩하다. 하루 수만 명 확진을 가정하면 현재 전국 600개 규모로 충분한지도 의문이다. 24시간 대응책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으면 재택치료 중 급작스러운 증세 악화로 위독해지는 사례가 얼마든지 나올 수 있다.
방역 당국이 오미크론 환자가 다수인 일부 지역에 한정해 26일부터 새 방역 체계를 적용하면서 전국 도입을 미루는 것도 이런 준비 부족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전문가들은 새 방역 체계가 정착하기까지 적어도 일주일은 걸릴 것으로 본다. 확진자 폭증으로 재택치료자, 격리자가 갑자기 늘어나면 일시적으로 사회시스템에 지장이 생길 수도 있다. 이런 혼란을 막고 새 방역을 안착시키려면 오미크론 대응 체계를 하루라도 빨리 가동해야 한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