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경매 받겠다고 100억원이 모였다... '다오(DAO)'가 대세가 된다고?

입력
2022.01.25 04:30
수정
2022.01.25 07:50
2면
구독

블록체인 기술로 구현한 수평적 조직
투표·의사결정이 코드로... 익명성·투명성 보장
국경 없는 메타버스의 '규약' 될 가능성 높아

17일 오전 서울 강남구 신사동 케이옥션 사옥 내에 전시 중인 국보 금동삼존불감. 뉴스1

17일 오전 서울 강남구 신사동 케이옥션 사옥 내에 전시 중인 국보 금동삼존불감. 뉴스1

#이달 27일 케이옥션을 통해 사상 처음으로 국가지정문화재 2점이 경매로 나온다. 주인공은 간송미술재단에서 소장해 온 금동삼존불감과 계미명금동삼존불입상. 국보가 사상 처음으로 경매에 나왔다는 소식에 블록체인 커뮤니티 중심으로 감지된 '문화재를 지키자'는 온라인상에서의 움직임에도 이목이 쏠렸다. 특히 100억 원 규모의 대제불가능토큰(NFT)만으로 2점의 문화재를 낙찰받겠다고 나선 '국보 다오(DAO)'에도 상당한 관심이 모아졌다.

#지난해 11월 19일 미국 뉴욕 소더비에서도 미국 헌법의 초판이 경매로 등장했다. 낙찰 가격은 무려 4,320만 달러(약 514억 원). 이틀 후 낙찰자는 헤지펀드 시타델을 만든 켄 그리핀으로 밝혀진 가운데 막판까지 경합했던 경쟁자는 컨스티튜션(헌법) DAO로 알려졌다. 1만7,437명에게 가상화폐인 이더리움만으로 평균 206달러씩 모금, 4,000만 달러의 실탄을 장전하고 경매에 나섰지만 아쉽게 실패했다.

암호화된 분산 데이터베이스(DB) 기반의 블록체인과 3차원(3D) 가상세계인 메타버스 바람을 타고 미래 시대의 새로운 조직 형태인 DAO가 급부상하고 있다. 일각에선 DAO에 대해 지금까지 불가능했던 직접민주주의를 실현할 핵심 수단으로 평가하면서 향후 정부와 기업을 비롯한 전통적인 조직의 대체 집단으로 내다보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 위에 세워진 '탈중앙화 자율조직'

탈중앙화자율조직 다오(DAO). 그래픽=박구원 기자

탈중앙화자율조직 다오(DAO). 그래픽=박구원 기자

24일 블록체인 업계에 따르면 다오는 탈중앙화 자율조직(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의 약자로, 블록체인 기술 중심의 가상화폐로 재정을 충당하는 새로운 조직 형태다. 전통적인 조직처럼 대표나 관리자, 부서가 존재하지 않고, 개인들이 자유롭게 모여서 자율적으로 운용된다.

다만 단순히 형식적으로만 수평적인 조직은 아니다.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되면서 주요 의사결정을 코드에 짜인 규칙인 '스마트 콘트랙트'가 결정하고 실행하는 '진짜' 수평적 조직이다. 기존 조직에선 투표를 통해 의사결정 방향이 정해지더라도 선출된 특정 개인이나 소수의 운영주체가 이를 시행하는 과정에서 임의로 규칙을 바꿀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했던 게 사실이다. 하지만 DAO에선 코드가 결정된 목표를 자동 실행한다. DAO가 잘못된 선택을 할 수 있을지언정 일부의 개입이나 부패 가능성은 원천 차단되는 셈이다.

시공간을 초월해 운영되는 DAO의 가장 큰 특징은 익명성이다. DAO에서 통용되는 가상화폐나 토큰을 낸 구성원은 조직 경영에 대해 얼마든지 제안할 수 있다. 모든 의사결정 과정도 블록체인에 투명하게 기록된다. 누구나 쉽게 다오를 만들고, 목적을 달성하면 언제든지 해체할 수 있다.

향후 탄생할 메타버스 생태계의 프로토콜로 DAO가 떠오르는 것도 이 때문이다. 블록체인 기반의 DAO의 경우 보다 투명하고 객관적인 운영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가상화폐 연구 업체인 메사라 리서치는 "2021년이 NFT의 해였다면 2022년은 DAO의 해가 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인호 고려대 블록체인연구소장은 "그리스 시대에는 직접민주주의가 가능했지만, 이후 인구가 많아지고 사회가 고도화되면서 민주주의를 위한 비용이 늘어나 간접민주주의를 채택하게 됐다"면서 "블록체인 기술로 이 코스트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게 가능해지면서 가장 민주주의에 가까운 경제체계이자 조직 형태로 나타난 게 DAO다"라고 설명했다.

투자·미술품·기부 다오까지 다양... "미래에는 정부·기업 대체할 수도"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실제로 DAO는 이미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미술품·문화재 컬렉팅 DAO'와 '투자 DAO', '기부·자선 DAO' 등이 대표적이다. 예를 들어 미술품 DAO의 경우 모금을 통해 낙찰을 받고, 해당 작품의 NFT를 발행해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방식이다.

지난해 6월 국내에서도 '플립플랍다오'라는 NFT 투자 DAO가 탄생했다. 글로벌 전기차 기업인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의 친동생 킴벌 머스크는 지난달 식량 정의를 목표로 한 '빅그린 DAO'도 출범시켰다.

다만, 넘어야 할 산도 자리한다. 어디까지 DAO의 법적 지위를 인정하느냐의 여부다. 국내에선 이 문제에 대해 아직까지 논의조차 들어가지 못했다. 기술적인 측면의 한계도 존재한다. 코드에 의존하는 만큼, 보안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해킹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박성준 동국대 블록체인연구센터장 겸 앤드어스 대표는 "DAO의 확장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면서 "한국의 전통적인 조직인 계나 협동조합의 경우 DAO를 통하면 계주나 조합장 없이 스마트 콘트랙트를 통해 투명하게 운영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정당이나 기업을 만들었을 경우 이들의 법적 지위를 어디까지 인정할 수 있는지 등 법적 기반이 아직까지는 취약하다"며 "새로운 시장의 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제도 마련이 시급하다"고 조언했다.

이승엽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