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마지막까지 발목 잡은 ‘석탄’… 인도는 왜 극렬 반대했나

입력
2021.11.14 15:50
수정
2021.11.14 19:37
5면
구독

COP26 '글래스고 기후 조약' 내고 폐막
인도 극렬 반대 탓에 '석탄 발전 감축'으로 후퇴
선진국 '사다리 걷어차기' 반발 차원인 듯
인도 환경장관 "개도국, 화석연료 사용 자격 있다"

지난 9월 24일 인도 자르칸주 단바드 인근 한 저탄소에서 노동자들이 석탄 운반 작업을 하고 있다. 단바드=AP 연합뉴스

지난 9월 24일 인도 자르칸주 단바드 인근 한 저탄소에서 노동자들이 석탄 운반 작업을 하고 있다. 단바드=AP 연합뉴스

13일(현지시간)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채택된 ‘글래스고 기후 조약’이 ‘불완전 조약’이라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당초 폐회 날짜(12일)보다 하루 더 회의를 연장하는 등 진통을 겪으면서까지 ‘석탄’과 ‘화석연료’가 직접적으로 언급됐다는 의미를 부여할 수 있지만, 석탄 발전을 ‘중단’하겠다던 합의 초안과 달리 최종안에서 ‘감축’으로 수정됐기 때문이다. 특히 석탄발전 중단에 인도가 강력히 반대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인도가 왜 석탄에 민감하게 반응했는지 그 배경이 주목됐다.

인도가 끝까지 석탄 발전 중단에 반대한 것은 강대국들의 ‘사다리 걷어차기’에 대한 반발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AP통신은 이날 기후ㆍ에너지 싱크탱크인 엠버를 인용해 1인당 석탄 배기가스 배출량이 주요 20개국(G20) 가운데 호주가 가장 많고 다음은 한국, 남아프리카공화국, 미국, 중국 순이라고 보도했다. 이른바 선진국이거나 선진국 문턱에 걸친 국가들의 석탄 사용이 비교적 많음에도 불구하고 석탄 발전을 전면 중단하는 경우 개발을 계속해야 하는 인도가 상대적 피해를 본다는 이야기다. 부펜데르 야다브 인도 환경부 장관은 "개도국에는 화석 연류를 책임 있게 사용할 자격이 있다"고 '부자 국가 책임론'을 거듭 거론했다고 AFP통신 등이 전했다.

지난 9월 25일 인도 자르칸주 단바드 인근 한 도로변에서 노점상이 석탄 연료를 사용해 빵을 굽고 있다. 단바드=AP 뉴스1

지난 9월 25일 인도 자르칸주 단바드 인근 한 도로변에서 노점상이 석탄 연료를 사용해 빵을 굽고 있다. 단바드=AP 뉴스1

신재생에너지만으로 필요한 전력 수요를 전부 충당할 수 없다는 점이 인도의 반대 원인으로 지목된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인도가 향후 20년간 예상되는 전력 수요 증가에 대응하려면 유럽연합(EU) 전체와 맞먹는 규모의 발전 설비를 증설해야 한다. 인도가 이 상황에서 신재생에너지 관련 비용을 새로 지출하기보다는 저렴하면서 부존량도 충분한 석탄 사용을 지속하는 게 이득이라는 판단을 내렸을 것이란 추정이다.

다만 인도는 자국의 환경오염 문제도 해결하지 못하면서 기후변화 타개책의 발목을 잡았다는 평가를 피할 수 없게 됐다. 석탄은 모든 온실가스 배출의 20%가량을 차지하는 것은 물론 다른 환경 문제도 야기한다. 스모그를 일으키는 대기오염, 산성비, 호흡기 질환 등이 대표적이다. 인도 일간 힌두스탄타임스는 13일 대기질 정보 분석 회사인 아이큐에어(IQair)를 인용해 세계에서 가장 대기 오염이 심한 10대 도시 중 3곳이 인도에 있다고 보도했다. 수도 델리가 전 세계에서 평균 대기질지수(AQI) 1위를 차지했고 콜카타가 4위, 뭄바이가 6위로 나타났다. 인도열대기상학연구소(IITM)는 델리의 PM2.5(직경 2.5μm 이하 미세먼지)의 25%가 차량에서 배출됐다고 밝혔다. 산업시설에서 발생한 PM2.5는 10% 수준이었다. 가정 발생량도 7%에 육박했다.

김진욱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