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기온 1.5도 상승 억제" G20 약속…1.5도가 뭐길래

입력
2021.11.01 18:00
수정
2021.11.01 19:07
0면
구독

G20 이은 COP26 정상회의 열리면서
지구촌 최대 화두로 떠오른 '기후위기'
탄소중립·넷제로… 주요 용어들 의미는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회의(COP26)가 열린 지난달 31일 영국 글래스고 회의장에 참석자들이 모여들고 있다. 글래스고=로이터 연합뉴스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회의(COP26)가 열린 지난달 31일 영국 글래스고 회의장에 참석자들이 모여들고 있다. 글래스고=로이터 연합뉴스

올해 들어 이상기후 현상이 특히 두드러지면서 기후위기에 대한 지구촌의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도 뜨거워졌다. 주요 20개국(G20) 정상은 약 2년 만의 비대면 회의를 마친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지구 평균기온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섭씨 1.5도 이내로 억제하자"는 데 다시 한번 뜻을 모았고, 같은 날 개막한 제26차 유엔 기후변화당사국총회(COP26)에도 197개국이 참가해 머리를 맞댔다. 세계가 주목한 '1.5도'란 목표의 의미는 무엇인지 등 기후위기 주요 용어들의 의미를 정리해 봤다.

① '1.5도 이내' 모델 경로

기후과학자들이 가장 바람직한 온난화 시나리오로 꼽는 건 '1.5도 이내' 모델 경로다. 2100년까지 지구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 수준보다 1.5도 이상 높아져선 안 된다는 설정이다. 인류 생존을 위한 일종의 마지노선이다. 지구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2도 상승하면, 1.5도 상승했을 때보다 해수면이 10㎝는 더 높아져 인구 1,000만 명이 삶의 터전을 잃을 수 있다. 물 부족 인구도 최대 50% 늘어날 전망이다. 1.5도 상승 시에는 100년에 한 번 해빙하는 북극이, 2도 상승 시에는 10년에 한 번꼴로 녹아내려 복원도 불가능해진다. 1.5가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숫자인 이유다.

이미 지구 온도는 산업화 이전인 1800~1900년대 대비 약 1도 상승했다. 이 추세가 계속되면 2030년부터 2052년 사이에 0.5도가 더 상승할 전망이다. 결국 앞으로 2100년까지 남아 있는 약 80년간 '0.5도 상승'을 막으려는 지구촌의 총력전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2015년 12월 파리기후회의(COP21)에서 각국이 중지를 모았고, 이번 G20 정상회의에서도 재확인한 목표다.

② 탄소 중립

탄소 중립은 기온 상승을 막기 위한 실질적 목표다.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도록 순 배출량을 0이 되게 하는 것이다. 이른바 '넷제로'다. 단순하게 보면 인간 활동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동시에, 이를 흡수할 산림 등은 늘려야만 달성할 수 있다.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실현하자는 게 2018년 '제48차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총회'의 주요 논의 내용이었다. 이후 한국은 물론 미국, 유럽연합(EU), 중국 등이 각자 탄소 중립 정책을 내놨지만, G20 정상 회의에선 탄소 중립 시점을 2050년으로 못 박는 데에 실패했다. 인도, 중국 등은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해 온 선진국들이 역사적 책임을 지는 게 먼저"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최근 에너지 위기에 몸살을 앓은 영국 등이 석탄화력 발전으로 회귀하려는 움직임을 취한다는 점에 비춰, 앞길이 순탄치만은 않아 보인다.

영국 글래스고에서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회의(COP26)가 열린 지난달 31일, 벨기에 수도 브뤼셀 거리에 집결한 시민들이 기후위기에 대한 적극 대응을 촉구하며 시위를 하고 있다. 브뤼셀=EPA 연합뉴스

영국 글래스고에서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회의(COP26)가 열린 지난달 31일, 벨기에 수도 브뤼셀 거리에 집결한 시민들이 기후위기에 대한 적극 대응을 촉구하며 시위를 하고 있다. 브뤼셀=EPA 연합뉴스

③ 탄소 가격제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탄소를 배출하는 주체가 대기오염과 기온 상승 등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직접 부담하도록 하는 제도다. 올해 기준 전 세계에서 시행 중인 탄소 가격제는 64개에 이르고,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21.5%에 탄소 가격이 붙는다. 대표적 사례가 '배출권거래제도'다. 각 기업의 탄소 배출 허용 총량을 제한하고, 허용량보다 탄소를 적게 배출하면 다른 기업에 남은 배출권을 팔 수 있도록 시장을 만드는 방식이다. 또 다른 예로는 '탄소세'가 있다. 탄소를 배출하는 화석연료를 사용하면 그만큼 세금을 부과하는 직접 방식으로, 조세 저항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는 점이 단점이다.

④ 탈탄소화

화석연료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낮춰 가는 과정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는 전기의 단위당 탄소 발생을 줄이는 데 중점을 둔다. 풍력, 태양열 등 재생에너지 자원 사용을 늘려 가는 방안이 대표적이다. 탄소 포획·저장 장치(CCS) 기술을 적용해 배출량을 줄이는 것도 또 다른 방법이다. CCS는 말 그대로 대기 중 탄소를 포집, 활용, 저장·격리하는 기술로, 전 세계 20여 곳의 대규모 시설이 건설되고 있다.

⑤ 기후 정의

미래 세대에게는 '조세 정의'만큼 익숙해질 용어다. 금융위기가 그렇듯 기후위기도 약자에게 더 가혹할 수밖에 없다. 기후 정의는 완화, 적응 및 지속 가능한 개발에 대한 광범위한 투자를 통해 기후변화의 부담을 공평하고 공정하게 부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진달래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