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한·일 정상 첫 통화, 관계 복원의 출발점 되길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30분간 첫 전화 통화를 갖고 "양국 관계가 몇몇 현안들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의지를 갖고 노력하면 극복해나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기시다 총리도 "양국을 미래 지향적 관계로 발전시키자는 문 대통령 말씀에 공감한다"고 답했다.
한일 정상의 첫 통화는 기시다 총리 취임 11일 만에 어렵게 성사됐다.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라는 가치를 공유하는 가장 가까운 이웃나라 정상 간 통화가 늦어진 건 아쉽다. 징용 피해자와 위안부 배상 소송 문제 등에 대한 양국 입장 차도 확인됐다. 문 대통령은 강제 징용과 관련, "한일 청구권 협정의 적용 범위에 대한 법적 해석에 차이가 있는 문제"라고 지적했다. 위안부 문제도 "생존해 있는 피해자 할머니가 열네분이므로 해결할 수 있는 시간이 많지 않다"고 촉구했다. 그러나 기시다 총리는 징용과 위안부 관련 소송에 대한 한국 측의 적절한 대응을 요구했다고 일본 언론이 전했다.
그럼에도 양국 정상의 통화로 꽁꽁 언 한일 관계를 푸는 전기가 마련된 건 의미가 있다. 당장 해결책이 나오긴 어렵다고 하더라도 대화를 통해 상호 이해의 폭을 넓혀가는 건 꼭 필요한 일이다. 북한 핵 미사일 문제에 대한 외교적 공조에 합의하고, 코로나 대응과 한일 간 왕래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하기로 한 것도 성과다.
한국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일본에 관계 개선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 그럼에도 이날 기시다 총리가 문 대통령과 정상 회담 계획은 없다고 잘라 말한 건 유감이 아닐 수 없다. 한국이 내민 손을 일본이 계속 외면하는 건 외교적 결례일 뿐 아니라 국격에도 맞지 않는다. 기시다 총리는 전임 총리와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길 기대한다. 적어도 아베 신조나 스가 요시히데 전 총리처럼 정치적 목적을 위해 한일 관계를 방치하진 않길 바란다. 우리 정부도 기시다 총리가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를 이끈 외무상이었던 점을 감안해 이를 존중하면서도 피해자를 구제할 수 있는 묘책을 찾을 필요가 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