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국내 이송된 아프간 협조자들 따뜻하게 포용해야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아프가니스탄 난민 380여 명이 국내에 도착한다. 과거에 한국을 도운 이유로 탈레반의 보복 위협에 놓인 ‘협력자들’이다. 정부가 현지에 급파한 군 수송기 3대는 긴박한 작전 끝에 이들을 무사히 태우고 어젯밤 이륙했다. 이 같은 조치는 안타까운 아프간 난민 사태에서 국제사회의 인도적 책무를 다한 것으로 환영할 일이다.
해외 난민의 대거 유입은 1975년 베트남 보트피플과 2018년 예멘인에 이어 세 번째다. 하지만 아프간 난민들은 한국대사관, 바그람 한국병원과 직업훈련원, 차리카 지방재건팀(PRT)에 고용됐던 현지인과 그 가족들이다. '한국 협조자'란 점에서 이전 난민들과 다르며, 이들에게 피란처를 제공하는 것은 도의적 책임에 속한다. 더구나 이들은 탈레반의 아프간 장악 이후 보복 위험에 처해 도움을 요청해왔다고 한다.
입국한 아프간 난민들은 충북 진천의 시설에 머물며 신원 확인과 국내 체류 절차를 거치게 된다. 정부는 법률상 난민이 아닌 인도적 체류자로 인정한다는 방침인데 이 경우 매년 체류 허가를 받아야 하고 교육, 기초생활도 보장받을 수 없다. 비판적 여론을 감안한 조치로 보이나 장기적으로 이들에게 보다 안정적인 대책을 제공해야 마땅하다.
문화적으로 많이 다른 아프간인 난민에 대해 불편한 시선이 있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하지만 편협한 논리와 종교적 이유로 이들의 수용을 비판하고 반대하는 것은 불필요하고 소모적이다. 정부는 3년 전 예멘인의 제주 유입 때 겪은 난민 논란이 재연되지 않도록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도의적 책임을 떠나 아프간 난민 지원은 국제 사회 일원으로서 외면하기 어려운 과제다. 우리뿐 아니라 세계 주요 국가들이 모두 나서 동참하는 일이다. 사실 현대사에서 우리처럼 식민 지배와 전쟁으로 난민의 아픔을 경험했던 민족도 드물다. 역지사지로 생각하면, 난민 지원은 우리가 국제사회에 진 빚을 갚을 기회이기도 하다. 이제는 무자비한 탈레반을 피해 한국에 온 난민들을 따듯하게 포용할 때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