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금리 상승 조짐 확산, ‘유동성 잔치’ 경고등이다

입력
2021.03.02 04:30
27면
지난달 25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트레이더들이 업무를 하고 있다. 이날 뉴욕증시의 3대 주요 지수는 국채 금리가 치솟자 급락세로 마감했다. 연합뉴스

지난달 25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트레이더들이 업무를 하고 있다. 이날 뉴욕증시의 3대 주요 지수는 국채 금리가 치솟자 급락세로 마감했다. 연합뉴스


글로벌 금리 상승 우려가 확산하면서 연착륙 대책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금리 상승 우려는 지난달 25일(현지시간)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1년 만에 처음으로 연 1.5%를 넘기면서 본격화했다. 2월 초만 해도 1%였으니, 불과 20여일 만에 0.5%포인트 급등한 셈이다. 국내 10년물 국채금리도 지난달 26일 1.97%를 기록, 2월 초(1.79%) 대비 0.2%포인트 상승했다.

같은 날 일본 10년물 국채금리 역시 마이너스 금리정책을 도입한 2016년 1월 이래 5년여 만에 가장 높은 0.175%까지 올랐다. 글로벌 금리 상승세는 백신 접종 등에 따른 코로나19 팬데믹 완화 및 경기회복 기대가 형성되고 있음에도 각 국의 ‘돈 풀기’ 정책이 지속되는 데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에서 비롯되고 있다. 실제 미국에선 바이든 정부의 1조9,000억달러(약 2,140조원) 규모 경기부양안이 하원을 통과했다. 국내에선 20조원에 육박하는 추경이 윤곽을 드러냈다.

물론 이번 금리 상승세는 인플레 기대에도 불구하고 돈 풀기 정책을 당분간 지속할 수밖에 없는 정책여건 때문에 빚어진 ‘과도기적 현상’이며, 급변동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게 중론이다. 하지만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급격한 금융완화 축소에 따른 ‘긴축 발작’과 시장금리 급등의 전례가 생생하기 때문에 시장금리 상승세는 앞으로도 꺾이지 않을 것으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시장금리 상승세는 당장 증시 하락 등 금융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일정 수준 이상 증시 하락은 ‘빚투(빚내서 주식 투자)’ 투자분에 대한 반대매매를 촉발해 위기를 부를 수 있는 만큼, 투자자들의 유의가 절실하다. 더 큰 문제는 지난 1년 새 126조원이나 급증해 1,726조원에 달한 가계부채다. 부채 증가분의 상당액이 주택ㆍ주식 등의 빚투나, 자영업 위기 등에 따른 생활자금으로 급격한 부실화 위험이 크다. 내달 중 발표 예정인 가계부채 관리책에 연착륙 대책도 함께 강구될 필요가 큰 이유다.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