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수저들의 재산 기부

입력
2021.02.18 18:00
26면
구독

편집자주

<한국일보>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이 카카오 대표 캐릭터 '라이언'과 마주보고 있다. 카카오 제공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이 카카오 대표 캐릭터 '라이언'과 마주보고 있다. 카카오 제공

2010년 6월 당시 세계 최고 부호 빌 게이츠 MS 회장 부부와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은 지인들과 만찬 자리에서 “세상을 좀 더 나은 곳으로 만드는 기부 문화의 전통을 세우고 싶다”며 재산 대부분을 내 놓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렇게 시작된 더기빙플레지(The Giving Pledgeㆍ기부 서약) 운동은 두 달 만에 래리 엘리슨 오라클 창업자, 테드 터너 CNN 창업자 등 억만장자 40명의 동참으로 이어졌다. 10여년이 지난 지금 전 세계 25개국 219명의 부자들이 합류했다. 최소 10억달러(약 1조1,000억원)의 순자산 중 상당액을 기부하겠다고 발표하거나 서명을 한 편지를 보내면 더기빙플레지 홈페이지에 게재된다.

□ 우리나라에도 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2007년 12월 설립한 ‘아너소사이어티’(Honor Society)가 있다. 1억원이 넘는 기부금을 내면 정회원, 5년 내 1억원 이상을 납부하기로 약속하면 약정회원이 된다. 현재 1억원 이상 기부했거나 의사를 밝힌 이는 2,547명(10일 기준), 약정금액은 총 2,749억원이다.

□ 국내 최대 배달앱 ‘배달의민족’을 창업한 김봉진(45) 우아한형제들 이사회 의장이 재산의 절반을 사회에 환원하겠다고 밝히며 더기빙플레지에 이름을 올렸다. 그의 재산이 1조원대로 추정되는 만큼 기부액은 5,000억원이 넘을 것으로 보인다. 사실 김 의장은 아너소사이어티의 최고 기부자이기도 하다. 이미 71억원을 기부했다.

□ 앞서 김범수(55) 카카오 이사회 의장도 재산의 절반 이상을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기부하겠다는 다짐을 공개했다. 기부액은 5조원 이상일 것으로 예상된다. 물론 기부 약속과 실천은 다르다. 서약은 법적 구속력이 없다. 기부 의사를 밝힌 뒤 약속을 이행하지 않는 경우도 적잖다. 기부를 꼭 떠벌리며 해야 하는지도 의문이다. 아너소사이어티의 창립 주역으로 훈장까지 받은 '기부왕' 대기업 회장이 비자금 조성 혐의로 조사를 받은 소식도 당혹스럽다. 그러나 그나마 기부하는 시늉조차 내지 않는 부자들이 더 많은 게 우리 현실이다. 흙수저 출신 김범수, 김봉진 의장의 재산 절반 기부 약속이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오는 이유다. 다른 재벌 총수들의 릴레이 기부 선언 동참을 기대하는 건 무리일까.


국내 배달 앱 1위 '배달의민족' 창업자인 김봉진(45) 우아한형제들 의장이 자신의 재산 절반 이상을 사회에 환원한다. 우아한형제들은 18일 김 의장이 세계적 기부클럽인 '더기빙플레지(The Giving Pledge' 219번째 기부자로 등록됐다고 밝혔다. 김봉진 의장과 부인 설보미씨. 우아한형제들 제공

국내 배달 앱 1위 '배달의민족' 창업자인 김봉진(45) 우아한형제들 의장이 자신의 재산 절반 이상을 사회에 환원한다. 우아한형제들은 18일 김 의장이 세계적 기부클럽인 '더기빙플레지(The Giving Pledge' 219번째 기부자로 등록됐다고 밝혔다. 김봉진 의장과 부인 설보미씨. 우아한형제들 제공


박일근 논설위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