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22년만의 고용 한파, 당장은 정부가 버팀목돼야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일자리 감소가 22년만에 가장 컸던 것으로 드러났다. 13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취업자(2,690만명)는 1년 전보다 22만명 가까이 감소했다. 전년 대비 취업자가 줄어든 건 오일쇼크, 외환위기, 카드대란, 금융위기 당시 뿐이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최악의 고용 충격이 숫자로 확인됐다.
내용을 살펴보면 상황은 더 심각하다. 거의 모든 연령대의 취업자가 줄어든 가운데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점업 일자리가 32만개나 급감했다. 임시근로자(-31만명)와 일용근로자(-10만명)의 감소 폭도 컸다. 코로나19 충격이 유독 취약 계층에게 집중된 셈이다. '쉬었음' 인구도 250만명을 넘어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많았다. 일하고 싶어도 일할 수 없다는 얘기다.
문제는 올해 1,2월 고용 상황은 더 악화할 가능성이 크고 이후에도 극적인 개선을 기대하긴 힘들다는 데 있다. 이런 관점에서 정부가 1분기 중 직접일자리 83만개를 비롯 '110만개 공공일자리 채용' 대책을 발표한 건 마땅한 일이다. 공공 부문이 버팀목이 되기 위해선 가급적 집행을 서둘러 충격을 줄이는 게 필요하다. 다만 공무원 3만명 충원은 국민 부담을 가중시킨다는 점에서 신중한 검토가 요구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양질의 일자리를 만드는 주체는 정부가 아닌 기업이 돼야 한다. 기업들이 마음놓고 투자할 수 있도록 판을 깔아주는 게 일자리 정책의 첫단추다. 이날 정부가 2022년까지 기술기반 벤처 스타트업 기업 3,000곳에 복합금융 3조원을 지원하기로 한 것은 환영할 일이다. 2만개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기대된다고 한다. 청년과 여성을 위한 맞춤형 지원과 지역뉴딜벤처펀드를 대폭 늘리는 것도 적극 검토할만하다.
취약 계층에게 더 큰 코로나19 고용 충격은 일자리가 최고의 복지란 사실을 다시 확인시켜준다. 일자리 정부를 표방한 정부답게 공공부문이 두터운 버팀목이 되는 한편으로 기업들의 투자 환경 조성에도 힘써야 한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