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국민공천제 후퇴? 전략공천 사실상 허용

입력
2015.12.30 20:00
구독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30일 오전 국회 대표최고위원실에서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굳은 표정을 짓고 있다. 오대근기자 inliner@hankookilbo.com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30일 오전 국회 대표최고위원실에서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굳은 표정을 짓고 있다. 오대근기자 inliner@hankookilbo.com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고수해온 국민공천제가 후퇴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전략공천과 컷오프를 사실상 허용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히는 데다 상향식 여론조사 경선도구로 쓰려던 안심번호 전면 적용을 두고서도 논란이 불거지고 있기 때문이다.

김 대표는 30일 총선 여론조사 경선에 안심번호를 도입하는 문제와 관련해 이동통신 3사 임원들을 서울 여의도 당사로 불러 긴급회의를 열었다. 지난 27일 공천특위 4차회의에서 비용과 기술적 문제로 안심번호제 전면 도입이 어렵다는 지적이 나왔기 때문이다.

특위 위원장인 황진하 사무총장은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엊그제 특위에 전문가들이 와서 얘기했을 때는 준비과정이나 비용 면에서 도입이 어려운 쪽으로 이야기를 했지만 통신사들에 따르면 몇 가지만 법적으로 뒷받침되면 감당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당 안팎에서는 안심번호를 전면 도입(휴대전화 포함)하기가 기술적, 물리적으로 어려운 것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통신사에 시스템을 전면 구축하는 데 6개월이 걸리고 비용도 수십억원에 달하기 때문이다. 휴대전화 사용자 중 주소가 확보된 가입자가 15% 수준에 머무는 것도 한계다.

공천특위가 험지 차출 등으로 영입한 인재를 단수추천 대상에 포함시키는 쪽으로 의견을 모은 것도 논란거리다. 김 대표가 전면 불가를 주장해 온 전략공천을 사실상 허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비박계에서는 “전략공천, 컷오프가 허용되고 안심번호 전면 도입마저 어려워지면서 친박계 의도대로 공천룰이 만들어지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이미 비등하다.

한편 공천특위는 이날 5차 회의를 열고 1ㆍ2위 후보가 여론조사 오차범위 내에서 접전을 벌일 경우에 한해 결선투표제를 실시하기로 가닥을 잡았다. 그 동안 비박계는 오차범위 이상 득표 차가 날 경우에는 결선투표제가 필요 없다고 주장한 반면 친박계는 1위 후보자가 과반 득표를 얻지 못하면 결선투표를 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공천특위는 또 청년을 40세 이하로 규정하고, 여론조사 시 정치 신인에 한해 20% 정도의 가산점을 부여하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정승임기자 choni@hankookilbo.com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