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공천 자격심사 강화 추진…비박계 반발 뇌관

입력
2015.12.27 20:00
구독
황진하(왼쪽 두 번째) 새누리당 사무총장이 27일 서울 여의도 새누리 당사에서 공천제도특별위원회 전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배우한기자 bwh3140@hankookilbo.com
황진하(왼쪽 두 번째) 새누리당 사무총장이 27일 서울 여의도 새누리 당사에서 공천제도특별위원회 전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배우한기자 bwh3140@hankookilbo.com

새누리당이 내년 20대 국회의원 총선거 공천에 적용할 공직후보자 자격심사 기준을 강화하기로 했다. 공천 부적격 기준을 엄격하게 적용할 경우 현역 의원의 교체 비율이 높아질 수밖에 없어 친박계에 의한 공천학살이 재현될 것이라는 비박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새누리당 공천제도특별위원회는 27일 서울 여의도 새누리 당사에서 4차 전체회의를 열고 공천 룰 세부 기준 잠정안 도출을 시도했다. 친박계와 비박계는 특히 25일부터 사흘간 이어진 마라톤 회의에서 공천 자격심사 기준 강화 세부방안 등을 놓고 팽팽하게 맞선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공천특위는 현행 당규상 ▦파렴치한 범죄 전력자 ▦부정ㆍ비리 등에 관련된 자 등으로 폭넓게 정의하고 있는 공천 부적격 기준을 구체화하고 도덕성 기준을 추가하는 등의 방식으로 공천 심사 기준을 강화하자는 데는 이견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친박계는 선거기여율 등의 기준을 추가해 이에 못 미칠 경우 현역 의원이라도 공천에서 탈락시켜야 한다는 요구까지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방선거 등 각종 선거에서 드러난 득표율과 당 지지율 간 격차를 토대로 한 선거기여율과 같이 객관화할 수 있는 기준을 추가해야 한다는 것이다. 공천특위 위원장인 황진하 새누리당 사무총장은 26일 기자들과 만나 “‘컷오프’가 가진 부정적 측면을 최소화하면서도 필요성을 포용할 수 있도록 논의를 해나가기로 했다”며 “다만 탈락 비율을 얼마로 한다는 식의 합의는 없었다”고 밝혔다.

비박계는 당장 ‘상향식 공천’을 한다면서 인위적 공천 탈락의 길을 열어두는 것은 곤란하다며 강력 반대하고 있다. 특히 친박계가 주도하는 자격심사 강화가 비박계 공천 학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 친박계와 비박계가 정면 충돌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자격심사는 당 공천관리위원회가 사전 심사를 통해 공천 부적격자를 가려내 당내 경선 등에서 배제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로 현역 의원들은 사실상의 ‘컷오프’로 여기고 있다. 새누리당은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 체제이던 지난 2012년 19대 총선 공천에서 여론조사 등으로 현역 의원 25%를 물갈이 한 바 있다. 친이계가 대거 공천에서 탈락하면서 ‘친이계 공천 학살’이라는 뒷말이 나왔다. 친박계 내부에서는 “적어도 야당과 같은 20% 정도는 물갈이 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공천특위는 또 여론조사 경선을 치를 경우 현행 50대 50으로 규정된 당원과 국민의 참여 비율 조정 문제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지만 친박계와 비박계 사이에 이견을 좁히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현행 당헌·당규에 따라 단수·우선추천제를 적용하고, 결선투표가 필요할 경우 안심번호 방식의 여론조사를 실시하도록 하는 등의 방안에 대해서는 의견을 모았다. 특위는 이르면 28일 최고위원회의에 회의 결과를 보고해 추인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이동현기자 nani@hankookilbo.com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