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편집자주
우리가 사는 지구촌 곳곳의 다양한 ‘알쓸신잡’ 정보를 각 대륙 전문가들이 전달한다.

미국 성조기와 인도 간디 플래그. 로이터 연합뉴스
트럼프 2기 행정부는 '불법 이민 단속’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 중이다. 이민세관집행국(ICE) 권한을 확대해 학교와 교회 등 민감 구역에서도 불법 체류자를 체포할 수 있도록 했다. 이에 비판적인 다른 나라와 달리, 인도는 불법 체류 중인 자국민 송환에 협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미국 내 불법 체류 인도인은 멕시코, 엘살바도르에 이어 세계 3위(72만5,000명)다. 2023년 한 해만 멕시코, 캐나다 국경에서 약 9만 명의 인도인들이 불법 입국으로 체포됐다. 이들은 ‘당나귀 루트’라고 알려진 위험한 경로를 통해 미국 입국을 시도했다. 인도에서 출발해 상대적으로 비자 발급이 용이한 에콰도르, 콜롬비아, 파나마 등을 걸쳐 멕시코 국경에 도달하는 긴 여정이다. 이 과정에서 이민자들은 범죄, 폭력, 혹독한 날씨, 굶주림 등 다양한 위험에 직면하면서도, 브로커들에게 8,000만~1억3,000만 원에 이르는 막대한 비용을 지불한다.
트럼프 행정부가 1만8,000명의 인도 불법 체류자를 강제 송환하겠다고 발표하자, 인도 정부는 적극 협조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불법 이민 문제를 줄이는 동시에 합법적 이민과 경제적 협력을 강화하려는 전략의 일환이다. 인도는 H-1B 취업 비자 프로그램의 최대 수혜국으로, 전체 비자의 70%를 차지하며 미국 첨단 산업 분야에 핵심 인재를 공급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가 AI 및 첨단 기술 산업에 투자를 확대함에 따라 인도 인력의 수요가 더욱 증가하여 합법 취업 및 이민의 기회가 더 열릴 전망이다.
인도는 미국과의 협력을 통해 관세 완화와 수출 확대를 도모하고 있다. 미국이 브릭스(BRICS) 국가에 대해 100% 관세 부과를 예고한 가운데, 인도는 이 부담은 피하면서도 관세 전쟁의 반사 효과를 보겠다는 것이다. 전자, 자동차, 의류 등 주요 산업에서 약 25억 달러의 추가 수출 기회를 잡을 것으로 추정된다.
결론적으로, 인도 정부는 불법 체류자 송환 협력을 미국과의 전략적 관계를 강화하는 기회로 활용하려는 것이다. 관세 혜택과 고용 기회를 유지하는 동시에 첨단 기술, 국방, 에너지, 인도-태평양 지역 발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하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인도는 미국과의 긴밀한 소통을 통해 양국 관계를 보다 대담하고 포괄적으로 발전시키며, 상호 이익을 극대화하는 데 초점을 맞춘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