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커지는 ‘멀티데믹’ 우려…①설 명절 ②코로나19 변이 ③의료 공백에 '빨간불'

입력
2025.01.10 17:00
구독

인플루엔자 환자 한 달 만에 13배↑
중국서 유행하는 HMPV 검출률 급증
향후에도 바이러스 유행 위험 여럿

최근 인플루엔자 환자 수가 급증하는 가운데 이달 5일 서울의 한 어린이병원을 찾은 어린이 환자와 보호자가 진료를 받기 위해 기다리고 있다. 뉴스1

최근 인플루엔자 환자 수가 급증하는 가운데 이달 5일 서울의 한 어린이병원을 찾은 어린이 환자와 보호자가 진료를 받기 위해 기다리고 있다. 뉴스1

인플루엔자를 포함한 여러 호흡기 질환 환자가 큰 폭으로 늘면서 ‘멀티데믹’(복수의 감염병이 동시 유행하는 현상)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는 1~2주 후 인플루엔자 유행이 정점을 지날 것으로 봤으나 바이러스가 쉽게 전파될 수 있는 명절 연휴를 앞둔 데다,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재유행 우려도 여전해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0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1월 첫째 주(2024년 12월 29일~2025년 1월 4일) 표본감시 의료기관을 찾은 외래환자 1,000명당 인플루엔자 증상을 가진 의심환자 수는 99.8명이었다. 2016년(86.2명)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한 달 전(12월 1~7일‧7.3명)과 비교하면 13배 이상 뛰었다. 최천웅 강동경희대학교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교수는 “낮은 백신 접종률, 감소한 자연 면역력, 마스크 착용 등 개인 방역이 해이해진 점이 복합 작용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다른 호흡기 질환도 ‘감염 기지개’를 켜고 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인플루엔자가 예년보다 크게 유행하는 가운데 다양한 호흡기감염병의 동시 유행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에서 크게 확산 중인 ‘사람 메타뉴모바이러스(HMPV)’ 검출률은 4배 이상 치솟았다. 발열·기침을 불러오는 이 바이러스의 검출률은 4.25%(지난달 1~28일 기준)로, 2023년 같은 기간 평균(0.9%)을 크게 웃돈다. 영유아에게 폐렴‧모세기관지염을 일으키는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확진자도 지난해 10월부터 꾸준히 증가세다. RSV는 1세 미만 유아 사망의 주요 원인이다.

그래픽=박구원 기자

그래픽=박구원 기자

지난해 여름 유행 후 뒷걸음질 치던 코로나19 입원환자 수 역시 지난해 12월부터 증가세로 돌아서 경고등이 켜졌다. 입원환자 수는 지난해 12월 둘째 주 46명에서 66명→113명→131명(올해 첫째 주)으로 한 달 내 2배 이상 늘었다. 해당 수치는 급성호흡기감염증(ARI) 표본감시에 참여하는 의료기관 220곳에서 신고한 코로나19 입원환자 수다.

바이러스 유행 불을 지피는 위험요인은 향후에도 여럿이다. 먼저 공기 중 비말 등을 통해 전파되는 호흡기 질환 특성상 ‘3밀’ 환경에 노출되기 쉬운 설 명절은 바이러스 유행의 불쏘시개가 될 수 있다. 3밀 환경은 밀폐된 실내 공간에서 밀집해 밀접 접촉을 하는 경우로, 정부 전망대로 1~2주 안에 인플루엔자 환자 증가세가 꺾여도 설 연휴를 거치며 다시 늘 수 있다.

의료 공백 탓 대응 못해 길어질 수도 "'3밀' 조심해야"

코로나19가 시차를 두고 재차 확산할 가능성도 바이러스 유행 우려를 높이는 요인이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최근 미국에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확진자 수가 늘기 시작했다”며 “통상 미국에서 유행한 코로나19 변이가 1~2개월 뒤 국내에서 확산한 점을 고려하면 올해 2~3월 코로나19가 다시 돌 수 있다”고 내다봤다. KMI의학연구소 신상엽 연구위원도 “인플루엔자 유행이 지난 시점에서 학생들의 등교와 맞물린 시기에 코로나19가 재유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여러 호흡기 바이러스로 급성 중증 폐렴 환자가 늘더라도 의정 갈등 사태에 따른 의료 공백으로 제대로 된 대응을 하지 못해 바이러스 유행 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지금이라도 백신을 맞고 3밀 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조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최 교수는 “백신 접종 후 항체가 생기기까지 2주가 걸리지만,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통상 4월까지 유행하는 만큼 65세 이상, 임신부 등 고위험군은 반드시 예방접종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변태섭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