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소득 하위 20%, 5년 후 10명 중 7명 '계층 상승'… 상위 계층은 '굳건'

입력
2024.12.18 19:00
구독

통계청 '2017~2022년 소득이동통계'
2020년부터 연속 소득이동성 소폭 하향
상향 이동도↓… '계층 사다리 약화' 우려
이동성 남자보단 여자, 노년보단 청년↑

2017~2022년 소득계층 지속기간별 비율. 그래픽=강준구 기자

2017~2022년 소득계층 지속기간별 비율. 그래픽=강준구 기자

소득 수준 하위 20%에 속했던 10명 중 7명은 5년 뒤 계층 상승에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상위 20%에 있던 10명 중 6명은 자리를 지켰다. 다만 최근 들어 소득이동성과 상향이동률 자체는 낮아져 계층 사다리가 약화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통계청이 18일 발표한 '2017~2022년 소득이동통계'를 살펴보면, 2017년 하위 20%인 소득 1분위에 속했던 사람 중 68.7%가 2022년엔 2분위 이상이었다. 이에 반해 상위 20%인 소득 5분위에 있던 이들은 5년이 지나도 63.1%가 수준을 유지, 36.9%가 하향 이동했다. 계층이 높아질수록 이동성이 낮아지고 소득 수준은 공고해지는 셈이다.

단기간 계층 상승은 더욱 어렵다. 2022년 전년보다 소득 분위가 바뀐 사람은 34.9%로, 이 중 상향 이동은 17.6%(하향 이동은 17.4%)에 불과했다. 10명 중 2명만 소득 분위가 높아진 것이다. 소득이동성은 코로나19 여파로 자영업자 등이 크게 타격을 입었던 2020년(35.8%) 이후 지속 낮아지는 추세다. 전년보다 상향이동률 또한 2020년 18.2%에서 2022년 0.6%포인트 줄었다.

2021~2022년 소득분위별 이동비율. 그래픽=강준구 기자

2021~2022년 소득분위별 이동비율. 그래픽=강준구 기자

2021년에서 2022년 1년 사이 최하위 1분위에서 최상위 5분위로 이동한 비율은 0.5%에 그친 반면, 5분위는 86%가 굳건했다. 다만 5분위는 소득 상한이 없어 범위가 넓다. 소득이 수천만 원대에서 수십억 원대 이상까지 분포해 있다는 뜻이다. 소득 분위가 유지되는 비율은 5분위(86%), 1분위(69.1%), 4분위(65.6%), 3분위(54.7%), 2분위(49.9%) 순이었다.

2022년 기준 소득이동성은 남자(34%)보다 여자(36%)가, 65세 이상 노년층(25.7%)보다 15~39세 청년층(41%)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최바울 통계개발원 경제사회통계연구실장은 "여성이 종사하는 직장이 상대적으로 덜 안정적이라는 점이 변동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며 "노년층은 고정적 연금이 주 소득원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2021년과 비교해 2022년 청년층 소득분위는 1·2분위에서 줄고, 3·4·5분위에서 늘었다. 반대로 노년층과 40~64세 중장년층은 1·2분위 비중이 늘고, 3·4·5분위에서 줄었다. 여자가 남자보다 하위분위에 많이 분포했고, 소득 1분위를 유지한 비율도 높았다. 소득이동성은 지역별론 인천, 제주 등에서 높았고 세종, 전북 등이 낮았다. 자영업자 비율, 지역별 산업 특성 등 영향으로 분석된다.

소득이동통계는 통계청이 지난해부터 개발해 이번에 첫 공개한 것이다. 역동경제 구현을 위한 과제인 사회이동성 개선, 취약계층 지원 관련 정책 개발을 뒷받침하겠다는 취지다. 국세청 소득자료 등을 활용해 약 1,162만 명을 표본으로 개개인이 벌어들이는 소득의 변화에 따라 5분위 내 이동을 추적했다.

세종= 이유지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