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중증 외상으로 인한 사망 8년 새 줄었지만 장애율 상승한 이유는

입력
2024.11.27 17:30
구독

치명률 2015년 65.5%에서 작년 52.5%
장애율 64.1% → 77.4%...13.3%p↑
중증 외상에도 목숨 건졌지만 장애 못 피해

중증 외상 환자를 권역외상센터로 신속히 이송하는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닥터헬기.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제공

중증 외상 환자를 권역외상센터로 신속히 이송하는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닥터헬기.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제공

국내 중증 외상 환자의 치명률(환자 대비 사망자 비율)이 최근 8년 동안 감소했지만 장애율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의료망 확충으로 중증 외상 뒤 생명을 구하는 사례가 늘었어도 장애까지는 피하지 못한 것으로 해석된다.

질병관리청은 27일 서울 종로구 연지동 서울대 어린이병원에서 '국가손상조사감시체계 20주년 국제심포지엄'을 열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지역사회 기반 중증 외상 조사 결과' 개요를 발표했다.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아우른 해당 통계는 첫 공개다. 중증 외상은 운수사고, 추락·미끄러짐 등으로 인해 손상중증도 점수가 16점 이상이거나 병원 도착 전 심정지 또는 사망한 경우를 뜻한다.

질병청이 119구급대로부터 대상을 추출한 뒤 이송된 병원 협조로 약 6만 건의 의무기록을 조사한 결과 중증 외상 환자의 치명률은 2015년 65.5%에서 지난해 52.5%로 13%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퇴원 시 활동장애 정도가 식물인간, 중증 장애, 중등도 장애로 판정된 비율은 같은 기간 64.1%에서 77.4%로 13.3%포인트 증가했다. 중등도 장애를 제외하고 식물인간·중증 장애만 따진 중증 장애율은 31.6%에서 36.3%로 4.7%포인트 높아졌다.

중증 외상 환자 치명률 감소는 응급의료지원 헬리콥터(닥터헬기) 및 권역외상센터 확충과 맞물려 있다. 중앙응급의료센터에 따르면 도서지역 등 의료 사각지대에서 중증 외상 환자를 신속하게 권역외상센터로 이송하는 닥터헬기는 2015년까지 4대였는데, 현재는 8대가 됐다. 2012년 전국에 5개로 출발한 권역외상센터도 2016년부터 대폭 늘어 올해 기준 17개가 운영 중이다.

이번 조사 결과는 중증 외상에도 생명을 구하는 환자가 늘어났지만 동전의 양면처럼 장애인이 된 이들도 증가했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중증 외상은 그만큼 치명적이기 때문이다. 다만 장애 증가율 추세를 보면 중증 장애보다는 그보다 정도가 덜한 중등도 장애 발생이 많았다.

질병청 관계자는 "2019년 중증 외상 조사 체계 도입 전 기간에 대해서는 시계열 통계를 추진했고 올해 완료했다"며 "원인 분석 등을 담은 최종 연구 결과는 내달이나 연초에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창훈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