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北, 경의·동해선 폭파 자리에 흙벽 쌓고 콘크리트 구덩이 팠다...軍 "보여주기 쇼"

입력
2024.11.04 17:00
수정
2024.11.04 21:16
1면
구독

길이 120~160m, 폭 10m, 깊이 3~5m 규모
합참 "남북 연결 완전 차단 완료 보여주기식 공사"
군사적 효용성 거의 없어…'요새화' 추가 작업 가능성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10월 15일 폭파한 동해선 남북연결도로 북쪽 수십m 위치에 2일까지 중장비와 병력 300~400명을 동원해 콘크리트로 대전차구를 만들고, 성토지를 쌓아 나무를 심는 등 작업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북한군은 작업을 마친 후 성토지 위에 인공기를 꽂고 사진을 찍은 뒤 바로 수거했다. 합참 제공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10월 15일 폭파한 동해선 남북연결도로 북쪽 수십m 위치에 2일까지 중장비와 병력 300~400명을 동원해 콘크리트로 대전차구를 만들고, 성토지를 쌓아 나무를 심는 등 작업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북한군은 작업을 마친 후 성토지 위에 인공기를 꽂고 사진을 찍은 뒤 바로 수거했다. 합참 제공

북한이 지난달 15일 폭파한 경의·동해선 남북연결도로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새로 설치했다. 최대 5m 깊이의 대(對)전차구(전차 기동 차단 목적 구덩이)다. 구덩이 뒤로는 11m에 달하는 흙벽을 쌓고 나무를 심으며 남북 연결 육로 완전 차단의 의지를 보였다. 우리 군은 북한이 언제든 구덩이를 메우고 흙벽을 허물어 남침 통로로 만들 수 있다며 "보여주기식 쇼"라고 평가절하했다.

합동참모본부는 4일 "북한이 경의선·동해선 남북연결도로 폭파 지점으로 300~400명 병력과 중장비를 투입해 지난 2일까지 작업을 실시했다"며 "대전차구를 콘크리트로 조성하고, 그 북쪽으로 흙을 쌓고 나무를 심어 낮은 언덕 형태의 '성토지(방벽)'를 만들었다"고 밝혔다. 구조물 설치 장소는 군사분계선(MDL)에서 북쪽 약 100m 지점으로 추정된다.

북한이 10월 15일 동해선을 폭파한 뒤 2일까지 대전차구와 성토지 조성 작업을 실시했다. 합참 제공

북한이 10월 15일 동해선을 폭파한 뒤 2일까지 대전차구와 성토지 조성 작업을 실시했다. 합참 제공

설치된 대전차구는 경의선 쪽이 좌우 120m, 남북 10m, 깊이 5m 정도이고, 동해선 쪽은 좌우 160m, 남북 10m, 깊이 3m 정도다. 대전차구 바로 북쪽으로는 흙을 쌓고 나무를 심어 낮은 언덕을 만들었는데 경의선은 좌우 120m, 동해선은 180m 크기다. 남북으로는 50m, 높이는 11m 규모다. 대전차구와 성토지 사이에는 토사 유실을 막기 위한 1m 높이의 옹벽도 세워졌다. 설치 이후 별도의 경비 병력이나 추가 작업 동향은 발견되지 않았다.

북한이 폭파한 경의선 도로 북쪽 수십m 지점에 2일까지 중장비와 병력 수백 명을 동원해 콘크리트 대전차구와 흙을 쌓아 성토지를 만들었다. 합참 제공

북한이 폭파한 경의선 도로 북쪽 수십m 지점에 2일까지 중장비와 병력 수백 명을 동원해 콘크리트 대전차구와 흙을 쌓아 성토지를 만들었다. 합참 제공

군 당국은 군사적 효용성보다는 '보여주기식 쇼'로 받아들인다. 합참 관계자는 "동해선에서는 지난 2일 작업 완료 후 성토지에 인공기를 걸고 사진을 찍었다"며 "자기네 땅이라는 표시를 남긴 뒤 인공기는 당일에 바로 철수했다"고 전했다. 구조물 공사의 의미에 대해서는 "북한이 주장하는 남북 연결 완전 차단 조치를 완료했다는 보여주기식 공사"라며 "인공기를 1, 2시간 만에 철수한 것 역시 전형적인 '보여주기식 쇼'라는 방증"이라고 설명했다.

그래픽=송정근 기자

그래픽=송정근 기자

실제 군은 북한이 마음만 먹으면 성토지를 밀어 대전차구를 메우고 남침 루트로 사용이 가능하다고 본다. 규모상으로도 우리 군 전차에 큰 장애물이 될 정도는 아니라는 분석이다. 합참 관계자는 "(남침 루트 재건은) 짧은 시간에 가능하기 때문에 해당 지역 북한군의 동향을 면밀히 감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이 남북 연결 통로를 잇달아 차단하며 '요새화'를 선언한 만큼 이들 지역에 초소를 세우는 등 추가적인 작업이 이뤄질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김경준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