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가난한 시절부터, 개발 광풍까지... 흐르는 물 위에 세운 아파트 한 동에 다 담겼네

입력
2024.09.28 12:00
14면
구독

24일 옥상에서 내려다본 서울 서대문구 서소문아파트의 모습. 만초천 위에 건설된 건물이기에 하천의 곡률을 따라 굽어있다.

24일 옥상에서 내려다본 서울 서대문구 서소문아파트의 모습. 만초천 위에 건설된 건물이기에 하천의 곡률을 따라 굽어있다.


인근 직장인들이 25일 점심 서울 서대문구 서소문아파트 1층과 인근 상가에서 점심을 먹기 위해 몰려들고 있다. 처음부터 상가아파트로 건축됐던 서소문아파트는 지금도 공실 없이 매장들이 들어서 있다.

인근 직장인들이 25일 점심 서울 서대문구 서소문아파트 1층과 인근 상가에서 점심을 먹기 위해 몰려들고 있다. 처음부터 상가아파트로 건축됐던 서소문아파트는 지금도 공실 없이 매장들이 들어서 있다.


서울 서대문구 서소문아파트 건너편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 방향으로 이어지는 도로도 만초천을 복개하고 놓았다. 지역 토박이들에 의하면 하천이 덮이기 전 이곳은 빈민들이 밥과 빨래를 하는 곳이었다고 한다.

서울 서대문구 서소문아파트 건너편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 방향으로 이어지는 도로도 만초천을 복개하고 놓았다. 지역 토박이들에 의하면 하천이 덮이기 전 이곳은 빈민들이 밥과 빨래를 하는 곳이었다고 한다.


편집자주

시간이 흐르면 우리가 사는 공간에 흔적이 남습니다. 시대상이 드러나는 공간과 그곳에 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전합니다. 서울 서소문아파트가 담고 있는 60~70년대 개발 광풍을 시작으로 6주에 한 곳씩 시간과 공간을 탐방합니다.


미나리(芹)가 물결(美)치는 마을이라 했다. 미근동, 황금빛 미나리가 넘실대며 풋풋한 향내음이 날 것만 같은 지명이지만 이곳을 지배하는 것은 상인들의 고성이다. 서울중앙도매시장에 전국 모든 농수산물이 모이니 사람도 전국 각지에서 모였다. “물이 펄펄 내려가고 온갖 사람이란 사람은 다 모여 난장판이었제.” 80대 토박이 할아버지는 화양연화 시절을 기억으로부터 소환했다. 지금의 노량진, 가락동, 용산 등으로 큰 시장이 분산되기 전 서소문 일대가 광복 이전부터 이어져 온 상업 중심지였다.

중앙시장 왼쪽으로 완만한 곡선을 그리며 흐르던 ‘만초천’을 따라 분주한 시장 분위기도 함께 흘렀다. 하천변을 따라 들어선 상가들도 이곳의 분주함에 한몫 기여했다. 상인들의 끼니를 책임지는 밥집, 해장국집, 주점부터 신발가게와 이발소까지 없는 가게가 없었다. 돈과 사람이 모이는 곳에는 빈자도 자리 잡기 마련. 만초천의 일부는 집 없이 떠도는 빈민들의 몫이었다. 지금의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 서편은 냄비를 걸어 밥을 짓고 물가에 빨래를 하는 빈민들의 자리였다.


서소문아파트 뒤편은 1~2층 층고의 주택·상가가 들어서 있다. 이곳은 아파트가 들어서기 전과 비교해도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고 한다.

서소문아파트 뒤편은 1~2층 층고의 주택·상가가 들어서 있다. 이곳은 아파트가 들어서기 전과 비교해도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고 한다.


현재도 기찻길 따라 높게 늘어서 있던 상가의 흔적을 볼 수 있다. 반대편은 전부 도로로 정비됐다.

현재도 기찻길 따라 높게 늘어서 있던 상가의 흔적을 볼 수 있다. 반대편은 전부 도로로 정비됐다.

그러다 60년대 후반 무렵부터 하천 위에 촘촘히 ‘다리’를 놓기 시작하더니 무악재부터 용산까지 흐르던 만초천은 온데간데없어졌다. 이맘때쯤 거미줄같이 서울 곳곳을 흐르던 물길이 죄다 메꿔지기 시작했다. 청계천도 이때 복개돼 고가도로가 됐고 만초천 ‘위’에는 한강에서 싣고 온 ‘밤자갈’과 시멘트를 재료로 ‘서소문아파트’가 올라가기 시작했다.

서울이 급성장하던 시절 정부는 빠른 주택공급을 위해 이주·보상 문제에서 자유로운 국·시유지를 주목했고, 하천 역시 주인 없는 공간이었다. 아무리 복개했다지만 흐르는 물 위로 7층짜리 건물을 올린다는 발상은 오직 그 시대에만 가능했다. 덕분에 대지지분이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 없는, 지목상 ‘천(川)’에 지어진 아파트들이 탄생했다. 서울 서대문구에는 서소문아파트와 더불어 유진상가아파트, 성북구에는 지금은 헐린 성북상가아파트가 이 시기 들어섰다. 서소문아파트는 두 형제 건물보다 준공연도가 2년 늦은 건축물이지만 서울 도심에 인접해 있고 현재까지도 원형 그대로 남아 있는 유일한 곳이라 뜻하지 않은 상징성을 가지고 있다.

첫 입주 당시에는 방송 관계자 등 중산층 이상 여유로운 가구가 주로 살았다고 전해지지만, 동네에 오래 산 원주민들의 증언은 다소 갈린다. 개발 당시 하천뿐 아니라 기찻길 옆에도 2층 상가가 쭉 늘어서 있었는데, 원주민 중 일부는 도로를 놓기 위해 철거한 상가 주인들이 보상금으로 아파트에 입주했다고 말한다. 분양가를 낼 수 없던 주민들이 건설사에 세를 주고 살다 수십 년 후 분양받는, 이른바 분양전환임대와 같은 방식으로 입주했다는 얘기도 들을 수 있었다.


1972년 준공돼 무려 52년 증축·해체 없이 원래의 모습을 지키고 있는 서소문 아파트 위에는 다사다난한 세월만큼 복잡한 전선과 통신설비가 가득하다.

1972년 준공돼 무려 52년 증축·해체 없이 원래의 모습을 지키고 있는 서소문 아파트 위에는 다사다난한 세월만큼 복잡한 전선과 통신설비가 가득하다.


1972년 준공돼 무려 52년 증축·해체 없이 원래의 모습을 지키고 있는 서소문 아파트 위에는 다사다난한 세월만큼 복잡한 전선과 통신설비가 가득하다.

1972년 준공돼 무려 52년 증축·해체 없이 원래의 모습을 지키고 있는 서소문 아파트 위에는 다사다난한 세월만큼 복잡한 전선과 통신설비가 가득하다.


25일 서울 서대문구 서소문아파트에 더 이상 쓰이지 않는 통신 단자가 방치돼 있다.

25일 서울 서대문구 서소문아파트에 더 이상 쓰이지 않는 통신 단자가 방치돼 있다.

초기 입주민 구성이 어땠든 서소문아파트의 ‘전성기’는 그리 오래가지 않았다. 하천을 메꿔가면서까지 상가주택을 올리던 70년대 초 개발광풍에 닻을 올린 서소문아파트는 70년대 중후반을 지나며 강남으로 넘어간 개발정책으로 순식간에 구식이 됐다. 초기에 살던 중산층 이상 주민들은 몇 년 지나지 않아 새로 개발된 강남으로 떠나갔다.

중앙시장도 서울 각지로 기능이 나뉘어 분산됐고, 분주한 상업 중심지는 어느새 조용한 서민들의 보금자리로 바뀌었다. 뒤로 경찰청이, 앞으로는 대형 사무건물이 들어선 후 동네에 별다른 변화도 없었다. 덕분에 아파트 뒤편 서·남편의 한옥단지는 동네가 60~70년대와 다를 바 없는 모습 그대로다.

미근동에서 나고 자란 안규생(64)씨는 동네 개발이 멈춘 90년대에서야 서소문아파트에 입주했다. 안씨는 “크진 않지만 알찬 방이었다”며 “우리도 네 식구가 복작복작하게 살았고, 다들 비슷한 사람들이 살던 아주 서민적인 동네”라고 당시 아파트 분위기를 설명했다. 두 자녀가 크며 다시 인근 주택으로 이사했지만 당시 기억을 “좋았다”라고 회상했다.

지금 서소문아파트에 남은 원주민은 10% 내외라고 한다. 인근 직장이나 남대문 등 대형시장에서 일하는 사람들, 홀로 사는 노인, 지방에서 상경한 학생들이 짧게 살다 나간다. 2021년 인근 단독주택단지와 엮어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후보지로 선정됐지만 이달 중순 주민 의사에 따라 사업추진이 공식 철회됐다. 대지지분이 없는 서소문아파트를 개발대상에서 제외하자는 주민들과, 그래도 지역 개발을 위해 함께 개발해야 한다는 주민들 간 의견 차이가 끝내 좁혀지지 못해서다. 한때 흐르던 물길 따라 굽은 이 아파트는 또 시대의 변화에 시달리고 있는 듯하다.


24일에서 25일까지 서울 서대문구 서소문아파트의 모습을 연속 촬영해 조각조각 이어 붙였다. 하천을 덮고 아파트를 올리던 개발 정책의 상징적 성과로 빛나던 시절부터 이해관계와 변한 법제로 낙동강 오리알이 신세가 된 현재까지, 흥망성쇠를 거치며 우리의 시대상을 담아낸 곳이다.

24일에서 25일까지 서울 서대문구 서소문아파트의 모습을 연속 촬영해 조각조각 이어 붙였다. 하천을 덮고 아파트를 올리던 개발 정책의 상징적 성과로 빛나던 시절부터 이해관계와 변한 법제로 낙동강 오리알이 신세가 된 현재까지, 흥망성쇠를 거치며 우리의 시대상을 담아낸 곳이다.


이한호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