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대통령 외압' 부인 이종섭 '통화 기록' 제시에도..."누군지 말하는 건 적절치 않아"

입력
2024.09.03 19:30
수정
2024.09.03 21:01
3면
구독

박 대령 재판 7차 공판 증인 출석
'4시간 신문' 조목조목 반박, 일부 회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3일 오후 서울 용산구 국방부 중앙군사법원에서 열린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 항명 혐의 7차 공판에 증인으로 출석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3일 오후 서울 용산구 국방부 중앙군사법원에서 열린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 항명 혐의 7차 공판에 증인으로 출석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3일 채 상병 순직 사건 외압 의혹에 대해 "대통령이든 대통령실 참모든 어떤 지시도 없었다"고 재차 밝혔다. 사건을 둘러싼 'VIP(대통령) 격노설'을 부인하는 한편, 해병대 사령관에게 내린 수사 이첩 보류 지시가 전적인 자신의 판단이었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대통령실 통화기록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통화 내용 등을 부정하거나 모르쇠로 일관했다.

이 전 장관은 3일 서울 용산구 중앙군사법원에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의 항명 및 상관명예훼손 재판의 7차 공판에 증인으로 출석하며 "대통령으로부터 어떤 외압이나 이런 것은 전혀 없었다"고 말했다. 이어 "상관의 적법한 이첩 보류 지시를 거부하고 공공연하게 허위 사실을 유포해 상관의 명예를 심각하게 훼손한 점이 오늘 재판의 실체"라고 강조했다. 이 전 장관의 증인 출석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전 장관은 지난해 7월 채 상병 순직 사건을 조사하던 박 대령을 보직 해임했다. 자신의 이첩 보류 명령을 어기고, 조사결과를 경북경찰청에 이첩했다는 이유에서다. 박 대령은 이첩 보류 지시가 부당하며, 이 과정에서 윤 대통령 개입이 있었다고 주장한다.

이 전 장관에 대한 증인 신문은 '윗선 개입' 여부를 묻는 질문이 주를 이뤘다. 특히 대통령실의 통신 기록을 바탕으로 한 구체적인 질의가 있었다. 그러나 이 전 장관은 "(격노설이 불거진) 지난해 7월 31일 오전 11시 56분에 02-800-7070 번호(발신인)는 대통령이냐"라는 질문에 "누가 했다고 말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고 말을 아꼈다. "대통령이 아닌가"라고 묻는 질문에 대해서도 같은 답을 내놨다.

8월 7일 오후 7시 26분쯤 당시 대통령실 경호처장이던 김용현 국방부 장관 후보자가 이 전 장관에게 전화한 사실도 언급됐다. 박 대령 측 변호인은 이 전 장관이 퇴근 후 성동구 옥수동과 용산구 장관 공관, 중구 신당동으로 이동하며 밤 10시가 넘은 시각까지 김 후보자, 전하규 대변인 등과 통화한 점을 지적하며 “어떤 내용으로 대화했는지 기억나느냐”고 묻자, 이 전 장관은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답했다.

오전엔 이 전 장관을 보좌했던 박진희 육군 소장도 증인으로 출석했다. 박 소장은 "박 대령이 열심히 수사했지만, 마치 수사 지휘를 유족한테 받은 것처럼 유족이 원하는 방향으로 수사했다"며 "장관의 정당한 지시를 외압이라고 하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고 밝혔다. 또한 "의혹을 가지고 보자면 의혹덩어리겠지만 간단하게 보면 (사건의 민간 경찰) 이첩을 보류하라는 지시였다"고 말했다.

김형준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