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몬·위메프(이하 티메프) 환불·정산 지연 사태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파장은 6만 개에 달하는 티메프 입점 업체 자금난 심화에 이어 관련 금융사 피해로 확산하고 있다.
당국은 “티메프 사태 발생 직전 6, 7월의 판매 대금까지 집계한다면, 미정산액은 당초 알려진 1,700억 원을 훨씬 넘어 3,000억 원을 넘어설 수 있다”고 추산했다. 하지만 이번 사태 최종 책임자인 모기업 큐텐 그룹이 “내달까지 해외 계열사를 통해 5,000만 달러(약 700억 원)를 조달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는 방침만 밝힌 채, 구영배 대표는 모습조차 드러내지 않는 등 수습책을 내놓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 와중에 대부분 중소업체인 티메프 입점 업체들은 대금을 제때 받지 못해 연쇄 도산 위기에 몰리고 있다. 사건 초기 관심이 집중된 여행사뿐 아니라 내수 침체 장기화에도 근근이 버티던 숙박, 전자제품, PC 부품, 가구·인테리어 등 중소업체들이 치명타를 맞은 것이다. 피해는 여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이커머스 플랫폼들이 우월적 지위를 이용해 판매금 정산 주기를 최장 60일 이상으로 늦추는 바람에 자금난을 겪는 입점 업체에 ‘선정산 대출’을 해온 금융기관들도 피해가 예상된다. 선정산 대출의 경우 연 6%가 넘는 높은 이자를 받아온 것으로 드러났다. 또 티메프로부터 받을 돈, 즉 정산채권 투자 상품을 만들어 판매한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체(온투업)도 4곳 있는 것으로 밝혀져, 티메프 사태 피해자가 개인 투자자로 확산될 수도 있다.
그동안 국내 이커머스 업계가 중소업체를 돕기보다는 독자적인 판매망을 확보하기 힘든 이들의 약점을 이용해 무리하게 대금 지급을 늦추고, 금융사들은 그 틈을 이용해 고금리 대출상품을 판매하며 중소업체를 힘들게 해왔다는 점이 분명히 드러난 것이다. 당국 역시 ‘유통 혁신’ ‘탈규제’란 미명하에 이런 문제에 대한 감시 감독을 소홀히 해왔다는 책임을 피하기 힘들다. 이제라도 이커머스 업체의 상품 판매 대금 계좌와 기업 계좌 분리 의무화, 정산 기간 단축 등의 규제 강화에 나서야 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