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동서 열강이 베트남전쟁을 외면한 이유

입력
2024.07.18 04:30
26면
구독

7.18 베트남전의 이면- 1

1972년 베트남전쟁에 파병된 한국군이 나짱 인근 적진으로 향하는 장면. 게티이미지

1972년 베트남전쟁에 파병된 한국군이 나짱 인근 적진으로 향하는 장면. 게티이미지

베트남전쟁이 미국-소련의 냉전 대리전이자 국제전으로 분류되지만 실제 교전국은 극히 제한적이었다. 미국이 지원한 남베트남(베트남공화국) 편에는 인근 국가인 태국과 필리핀 캄보디아 크메르공화국, 한국과 중화민국, 호주, 뉴질랜드가 포진했고, 북베트남(베트남민주공화국) 진영에는 크메르루지와 북한, 중화인민공화국, 소련이 섰다. 하지만 한국을 제외하면 나머지 국가의 개입 양상은 제한적이고 소극적이었다. 프랑스와 영국을 포함한 모든 유럽 국가가 그 전쟁을 방관하거나 경제적 지원으로만 거들었고, 소련과 중국 역시 정보와 군수물자 지원에 그쳤다. 특히 소수의 공병대를 파병했던 중국은 베트남 분단을 지지하며 1969년 무렵부터 지원을 완전 중단하고 오히려 북베트남을 견제했다.

호주와 뉴질랜드가 가담한 것은 태평양안전보장조약(ANZUS) 가맹국인 데다 이른바 '적화 도미노이론', 즉 인도차이나가 공산화하면 태평양이 위태로워진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었다. 하지만 파병군을 최다 7,000명(누계 약 6만 명) 규모로 운용한 호주는 잇단 인명 손실로 반전 여론이 격화하자 1971년 7월 18일 “크리스마스까지 전원 철군”을 발표했고 뉴질랜드 역시 자국 전투부대의 연내 철수를 선언했다. 앞서 태국이 보병사단 1만2,000명 중 절반의 철수를 단행하고 나머지도 이듬해 초 철수 계획을 수립했으며 필리핀은 이미 1968년 2,000여 명 병력을 모두 뺐다.

1972년 베트남 전쟁의 남베트남 측에는 미군과 한국군만 남았고 그나마 미군은 22만여 명에서 71년 말 18만여 명으로 감축됐다. 1964년 첫 파병 이래 72년까지 한국은 약 5만 명(총 32만5,000 명 규모)의 군인을 전투병 위주로 파병, 5,099명이 전사하고 1만1,000여 명이 부상하는(고엽제 피해 등 제외) 피해를 입었다. 한국군은 1973년 1월 파리평화협정, 즉 베트남 전쟁 종전협정 이후에야 미군과 함께 철수했다.(계속)

최윤필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