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S&P "한은이 연준보다 먼저 금리 내릴 수 있다… 연말까지 1회"

입력
2024.07.12 04:30
2면
구독

루이 커쉬·킴엥 탄 S&P 전무 인터뷰
"미 연준, 9월보다 12월 한 차례 인하"
한국 올해 성장률 2.2→2.6%로 상향
"불평등 완화, 생산성 높일 수 있어"

루이 커쉬(오른쪽) S&P글로벌 아태지역 수석 이코노미스트와 킴엥 탄 아태지역 국가 신용평가팀장이 11일 서울 중구 파이낸스센터에서 한국일보와 인터뷰에 앞서 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임은재 인턴기자

루이 커쉬(오른쪽) S&P글로벌 아태지역 수석 이코노미스트와 킴엥 탄 아태지역 국가 신용평가팀장이 11일 서울 중구 파이낸스센터에서 한국일보와 인터뷰에 앞서 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임은재 인턴기자


"과거에도 한국은행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보다 빠르게 움직인 전례가 있다. 금리 인상도 먼저 시작하지 않았나. 굳이 연준을 기다릴 필요는 없다."

(루이 커쉬 S&P 아태지역 수석 이코노미스트)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이 한국과 미국 중앙은행의 금리 인하가 연내 단 한 차례에 그칠 것으로 전망하면서 한은의 선제적 인하 가능성에 무게를 실었다. 수출 호조를 반영,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도 한층 높여 잡았다.

루이 커쉬 S&P 아시아·태평양(아태)지역 수석 이코노미스트(전무)는 11일 서울 중구 S&P글로벌 사무실에서 진행한 본보와의 단독 인터뷰에서 "한은과 미 연준 둘 다 하반기 중 0.25%포인트씩 단 한 번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의 경우 시장이 기대하는 '9월 첫 금리 인하'는 현실적으로 어렵고, 목표(2%)를 웃도는 물가 상승률이 지속되면서 연말인 12월쯤 통화정책 전환에 나설 것이란 게 S&P의 최신 전망이다.

루이 커쉬 S&P 아태지역 수석 이코노미스트가 11일 서울 중구 파이낸스센터에서 한국일보와 인터뷰하고 있다. 임은재 인턴기자

루이 커쉬 S&P 아태지역 수석 이코노미스트가 11일 서울 중구 파이낸스센터에서 한국일보와 인터뷰하고 있다. 임은재 인턴기자


한은은 그보다 빨리 금리를 내릴 수 있다고 언급했다. 커쉬 전무는 "환율 우려를 감안할 때 미국과 시차가 크지는 않겠지만, 연준이 금리 인하 궤도에 진입했다는 신호가 있다면 한은이 조금 먼저 움직일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상승률이 2.4%까지 내려오는 등 물가 둔화세가 완연해지며 금리 인하 명분을 만들고 있다는 평가다. 다만 한은은 물가 외에 한미 금리 차에 따른 원화 약세와 자본유출 우려, 가계부채 등 변수도 두루 고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4월 말 S&P는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 및 전망을 'AA,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올해 경제성장률을 2.2%로 제시했다. 하지만 현재는 눈높이를 2.6%로 올려 잡았다고 커쉬 전무는 전했다. 한은 전망치(2.5%)보다 소폭 높고, 정부 전망과는 동일한 수준이다. 커쉬 전무는 "예상보다 좋은 수출 실적에 기반해 상향했다"며 "수출 개선은 국내총생산(GDP)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뿐 아니라 투자에도 기여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하방 위험으로 미중 무역갈등 심화 등 대외 요인을 꼽았고, 내년도 성장률 전망은 올해보다 다소 조정된 2.4%로 예상했다.


킴엥 탄 S&P 아태지역 국가 신용평가팀장이 11일 서울 중구 파이낸스센터에서 본보와 인터뷰하고 있다. 임은재 인턴기자

킴엥 탄 S&P 아태지역 국가 신용평가팀장이 11일 서울 중구 파이낸스센터에서 본보와 인터뷰하고 있다. 임은재 인턴기자


한국의 구조개혁 과제로는 '불평등 완화'를 강조했다. 커쉬 전무는 "한국은 여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들에 비해 중소기업과 대기업, 제조업과 서비스업,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격차가 크다"며 "이런 차이를 줄이기 위한 개혁은 형평성의 관점뿐 아니라 생산성과 성장률을 높이는 관점에서도 매우 반길 일"이라고 말했다. 함께 인터뷰에 응한 킴엥 탄 아태지역 국가 신용평가팀장(전무)은 "이런 정책은 설득부터 시행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데, 그 사이 정권이 바뀌면 동력을 잃기 쉽다"며 현행 '대통령 5년 단임제'의 구조적 한계를 지적하기도 했다.

탄 전무는 가계부채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은 고질적이고 반복되는 문제이지만, 정부가 시급성을 인지하고 적극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만큼 당장 위기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봤다. 정부 재정정책도 늘 신중하게 운영돼 왔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향후 한국의 신용등급 방향을 좌우할 핵심 요인으로 '북한'을 지목했다. 탄 전무는 "북한 정권이 지금보다 덜 이성적으로, 큰 위험을 감수하려 한다면 한국 정부에 대한 평가를 끌어내릴 수 있고, 반대로 북한이 개혁과 개방을 지향한다면 한국의 등급도 경제 지표에 맞게 상향될 수 있다"고 말했다.

강유빈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