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폭우에 여의도 3배 농경지가 잠겼다...물가 당국 '비상'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충남지역에 집중호우가 내린 10일 충남 부여군 세도면 간대리 일대 하우스가 불어난 물에 잠겨 있다. 뉴스1
중부 지방에 시간당 100㎜가 넘는 비가 쏟아지면서 농경지 침수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잠잠했던 물가가 신선채소발(發)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며 물가당국에도 비상이 걸렸다.
10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9일 자정까지 신고된 농작물 침수 피해는 총 969.2ha에 달한다. 서울 여의도 면적(290ha)의 3배가 넘는 재배지가 침수되거나 낙과 등 피해를 봤다. 유실되거나 매몰된 농경지만 44.9ha에 달한다. 충청권 전역과 경북 안동과 영양, 전북 지역의 피해가 컸다. 특히 이날 오전까지 시간당 100㎜가 넘는 역대 최대 비가 내린 상황이라, 피해 규모는 더 커질 전망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폭우가 짧은 시간에 쏟아져, 배수장을 사전에 점검했는데도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며 "밭 채소와 시설채소 모두 비상에 걸린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래픽=강준구 기자
7월 초부터 시작된 비에 이미 주요 농산물 가격은 일제히 오른 상태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운영하는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오이 10kg 도매가격은 1일 2만1,167원이었는데 이날 3만 원을 넘었다. 열흘 만에 44.0%가 오른 것이다. 평년 가격은 2만1,538원이었다. 청양고추(27.5%), 시금치(26.1%), 청상추(12.5%) 등 주요 채소류 가격도 일제히 치솟았다.
폭우가 쏟아진 10일 대구 군위군 효령면 성리 농경지가 물에 잠겨 있다. 연합뉴스
문제는 올해 여름에는 비가 더 많이 올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장마철엔 주요 농산물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는데, 올해도 비 때문에 농산물 물가가 전체 소비자 물가를 끌어올릴 가능성이 높아졌다. 한국개발연구원은 최근 '기상 여건 변화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강수량이 100㎜ 늘면 신선식품 물가가 약 0.93%포인트 상승한다고 분석했다. 정부 관계자는 "4월 이후 어렵게 2%대 물가를 유지하고 있는데, 작년에 이어 올해도 폭우 탓에 물가가 출렁이게 될까 봐 우려스럽다"며 "채소류는 비축도 어렵고 날씨 영향을 많이 받아 특히 취약하다"고 말했다.
올해 배추·무 등 주요 채소류의 생장이 평년보다 부진한 상황이라는 점도 우려를 키운다. '금 채소' 사태가 재현될 수 있다는 얘기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7월 관측보고서에서 "여름 배추와 여름 무의 생육 상태가 전년 대비 부진하다"면서 "병충해 발생은 미미하나, 고온 및 가뭄으로 전반적인 생육이 지연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