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고금리 대부업 대출 못 갚는 취약계층 늘었다

입력
2024.06.28 11:30
수정
2024.06.28 14:27
구독

대부업 연체율 10년 만에 최고치
신용대출 금리 14.3%, 1,719만 원 빌려

서울의 한 대부업체와 저축은행 건물 앞으로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뉴스1

서울의 한 대부업체와 저축은행 건물 앞으로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뉴스1


대부업 대출의 연체율이 급증하고 있다. 1, 2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지 못해 대부업을 찾은 취약계층이 한계까지 내몰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금융감독원이 28일 발표한 '2023년 하반기 대부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말 자산 100억 원 이상 대형 대부업체의 연체율(30일 이상 원리금 연체)은 12.6%로 1년 전(7.3%) 대비 5.3%포인트나 올랐다. 대형 대부업체 연체율이 12%를 넘어선 것은 2013년(13.24%) 이후 10년 만이다. 대부업 연체율은 2021년 말 6.1%, 2022년 말 7.3%, 2023년 6월 말 10.9%, 2023년 12월 말 12.6% 등으로 매년 커지는 추세다.

지난해 말 등록 대부업자의 대출잔액은 12조5,146억 원으로 지난해 상반기 말 대비 2조775억 원(14.2%) 줄었다. 등록 대부업자 수도 8,597개로 상반기 말(8,771개)보다 174개 감소했다. 법정 최고금리가 연 20%로 인하된 이후 대부업체들의 수익성이 낮아지면서 아프로파이낸셜대부(러시앤캐시) 등 주요 업체들이 철수한 탓이다. 지난해 말 대부 이용자 역시 72만8,000명으로 상반기 말보다 12만 명(14.2%) 감소했다.

대출 유형을 보면 담보가 7조8,177억 원으로 62.5%를 차지했고, 신용이 4조6,970억 원으로 37.5%였다. 고금리가 지속되면서 대부업체의 평균 대출 금리도 14.0%로 지난해 상반기 말보다 0.4%포인트 올랐다. 신용대출금리는 지난해 상반기 14.1%에서 하반기 14.3%로 올랐고 같은 기간 담보대출금리는 13.2%에서 13.8%로 상승했다. 1인당 대출액은 1,719만 원으로 지난해 6월 말과 비슷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저신용층의 금융애로 해소와 급전이 필요한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성행하는 불법사금융 피해 방지를 위해 우수 대부업자에 대한 유지·취소요건을 정비해 저신용층에 대한 신용공급 노력이 지속되도록 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하늘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