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사법리스크 촉각' 카카오, 계열사 줄이고 AI 전략 변경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카카오의 사법리스크가 본격화됐다. 창업자 김범수 경영쇄신위원장을 겨눈 검찰 수사 강도가 높아지면서다. 카카오가 인공지능(AI) 같은 미래 성장 동력 부문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내지 못하는 상황에서 김 위원장이 이끌던 경영 쇄신 작업에도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서울남부지검 금융조사제2부(부장검사 장대규)는 9일 김 위원장을 SM엔터테인먼트(SM엔터) 시세조종 관련 자본시장법위반 혐의로 불러 조사했다. 금융감독원이 2023년 11월 사건을 검찰에 송치한 후 검찰이 김 위원장을 불러 대면 조사를 한 것은 처음이다.
검찰 수사의 칼 끝은 김 위원장을 향하고 있다. 카카오는 지난해 2월 SM엔터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경쟁사 하이브의 공개 매수를 방해하기 위해 SM엔터 주가를 하이브의 공개 매수가인 12만원보다 높게 설정·고정할 목적으로 시세조종을 벌인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이 과정에서 김 위원장의 지시 또는 승인이 있었는지를 집중 수사하고 있다. 최근 김 위원장의 최측근인 황태선 카카오 CA협의체 총괄 대표도 불러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배재현 전 카카오 투자총괄대표는 이미 같은 혐의로 지난해 11월 구속됐다가 3월 보석으로 풀려나 서울 남부지법에서 관련 재판을 받고 있다.
카카오의 사법리스크는 앞으로 더 확산할 가능성이 있다. 남부지검은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드라마제작사 고가 인수 의혹, 카카오모빌리티의 '콜 몰아주기' 의혹, 카카오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 임원들의 횡령·배임 의혹 등 총 네 건을 추가로 들여다보고 있다.
김 위원장 중심으로 경영 쇄신 작업에 속도를 내던 카카오는 당황한 분위기다. '문어발식 경영'으로 비판 받아온 카카오는 지난해 5월 기준 147개에 달했던 국내 계열사를 6월 125개까지 줄이며 경영 효율화에 한창이었다.
특히 생성형 AI 지각생인 만큼 관련 조직 재편에 힘써왔다. 5월 카카오가 AI 전문 자회사인 카카오브레인의 AI 연구·개발 및 관련 사업 부문을 본사로 흡수한 게 대표적이다. 지난 달 AI 전담조직 카나나를 새로 만들어 AI 전략도 다듬었다.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는 자체 LLM(거대언어모델) 개발 경쟁에서 한 발 물러나 애플처럼 AI 모델 개발 대신 AI 서비스 개발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카카오는 네이버의 하이퍼클로바X와 같은 LLM인 코GPT 2.0을 선보이겠다고 밝혀왔으나 현재까지 공개하지 못하고 있어 비판이 컸는데 아예 전략을 수정한 것이다. 코-GPT 개발을 이끌던 김일두 카카오브레인 각자 대표도 회사를 떠났다.
문제는 카카오가 사법 리스크 파고를 넘어 새로운 성장 동력을 만들어낼 수 있느냐다. 정신아 대표가 카카오를 새롭게 이끈지 100일(7월 6일)이 지났으나 이렇다할 쇄신 성과를 보여주지 못했다는 목소리도 있다. 이준호 하나증권 연구원은 "카카오톡은 생성형 AI 시대에도 경쟁력이 유효할 수 있다"면서도 "AI 서비스를 구체화 한 로드맵 제공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이 때문에 카카오에 대한 전망은 엇갈린다. 시장에선 카카오의 목표 주가를 잇따라 하향 조정하는 추세다. 다만 일부에선 검찰 수사가 빨리 마무리되면 카카오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걷힐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카카오의 주가는 이날 4만2,450원으로 전일보다 0.12%(50원) 올라 제자리 걸음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