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러북 군사협력 심화 가장 강력 용어로 규탄"

입력
2024.06.24 11:40
수정
2024.06.24 13:40
구독

북한을 국빈 방문한 블라디미르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9일 평양에서 열린 국빈 만찬 행사에서 건배하고 있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북한 방문을 마친 뒤 다음 행선지 베트남으로 출발했다. 평양 로이터=연합뉴스

북한을 국빈 방문한 블라디미르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9일 평양에서 열린 국빈 만찬 행사에서 건배하고 있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북한 방문을 마친 뒤 다음 행선지 베트남으로 출발했다. 평양 로이터=연합뉴스

한미일 3국이 '유사시 지체 없는 군사지원' 내용이 담긴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을 체결한 북한과 러시아를 한목소리로 규탄했다.

조구래 외교정보전략본부장과 정박 미 국무부 대북고위 관리, 나마즈 히로유키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은 24일 "러북 간 군사협력 심화를 가장 강력한 용어로 규탄한다"고 밝혔다. 한미일 3국은 "북한에서 러시아로의 지속적인 무기 이전은 우크라이나 국민의 고통을 연장시키고, 다수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를 위반하며, 동북아시아와 유럽의 안정을 위협한다"고 규탄했다. 이어 이번 북러 조약체결을 통해 강조된 러북 파트너십의 발전은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고, 국제 비확산 체제를 준수하며, 우크라이나 국민이 러시아의 잔인한 침략에 맞서 자유와 독립을 수호하는 것을 지원하려는 모든 이에게 중대한 우려사항이 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3국은 "한미일은 지역 및 세계 안보에 대한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고 상황의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 외교 및 안보 협력을 더욱 강화할 의사를 재확인한다"면서 "미국의 대한민국과 일본 방위에 대한 공약은 철통같다. 한미일은 또한 대화의 길이 열려 있음을 재확인하며 북한이 추가 도발을 중단하고 협상으로 돌아올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문재연 기자

관련 이슈태그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