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러, 북에 정밀무기 주면 우크라 무기 제공에 어떤 선도 없다"

입력
2024.06.23 11:30
수정
2024.06.23 13:35
1면
구독

장호진 안보실장 "러시아가 하기 나름" 경고
푸틴의 유화 제스처 "방북, 이해해라 밑밥" 해석

장호진 국가안보실장이 20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북한과 러시아 회담 관련 정부 성명을 발표하기 위해 발언대에 오르고 있다. 뉴시스

장호진 국가안보실장이 20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북한과 러시아 회담 관련 정부 성명을 발표하기 위해 발언대에 오르고 있다. 뉴시스

대통령실이 23일 "러시아가 앞으로 어떻게 나오느냐에 따라 우크라이나에 대한 우리 무기 지원 조합이 달라질 것"이라고 재차 경고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앞서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 재검토를 결정한 우리 정부에 "아주 큰 실수가 될 것"이라고 반박했다. 대통령실은 푸틴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북러) 조약 내용에 대해서 우리한테 좀 설명하는 부분도 있었다"고 평가했다.

장호진 국가안보실장은 이날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푸틴 대통령의 21일 발언과 관련해 "앞에는 그렇게 이야기하고 뒤에는 한국이 그렇게 걱정할 일은 아니라고 하는 얘기도 같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조약의 경우 북한이 침공받았을 때 적용되는 조항인 데다, 양국의 국내법 절차를 따라야 하기 때문에 한국이 그렇게 우려할 일이 아니라는 취지로 발언했다는 것이다.

장 실장은 푸틴 대통령의 이달 초 외신과의 회견 내용도 재차 언급했다. 당시 푸틴 대통령은 한러 관계에 대해 “우리는 한러 관계가 악화하지 않기를 희망한다”, “우리 쪽에서는 채널이 열려 있고 협력을 지속할 준비가 돼 있다”고 했다. 이를 북러 정상회담의 ‘양해’를 구하려는 사전 포석으로 해석했다는 것이다. 장 실장은 “(푸틴 대통령이) 한러 관계에 대해 좋게 이야기했을 때 저희는 오히려 ‘아, 북한 가서 뭔가 하겠구나’라는 느낌을 받았다”며 “북한에 갔을 때 혹시 자신이 사고를 치더라도 우크라이나 전쟁 때문에 그러는 거니까 한국 측이 좀 이해해라 하는 식으로 밑밥을 까는 거라고 봤다”고 말했다.

장 실장은 '우리 정부의 단호한 대응' 입장을 분명히 했다. 물론 러시아가 한반도 안보에 위협적인 움직임을 보일 경우를 전제로 했다. 장 실장은 “러시아가 고도의 정밀 무기를 북한에 준다고 하면 우리에게 더 이상 어떤 선이 있겠는가”라며 “러시아 측이 하기 나름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싶다”고 말했다. 검토 중인 무기가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여러 조합이 있을 수 있다”면서도 “무엇을 줄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은 러시아에 대한 우리의 레버리지를 약화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으로 이야기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말했다.

또한 한러 관계 전반에 대해선 “우리 혼자 관리하는 것이 아니고 러시아도 상응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며 “(우크라이나) 전쟁 후 한러 관계를 복원 발전시키고 싶으면 러시아 측이 심사숙고하라는 말씀을 다시 드리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다음 달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의에서도 북러 문제가 주요 쟁점이 될 전망이다. 장 실장은 “러북 간 군사협력 문제는 이미 한반도나 동북아시아 문제가 아니라 유럽을 포함한 국제적 문제가 됐다”며 “당연히 (나토 회의에서) 이 문제에 대한 논의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현빈 기자

관련 이슈태그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