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석 따라 최대 6도 차이... '폭염' 지하철 가장 시원한 곳은?

입력
2024.06.20 12:00
수정
2024.06.20 13:32
구독

서울교통공사, 지하철 이용팁 공개
좌석위치 따라 2~4도 차이
온도 낮은 곳은 객실 양쪽 끝

출근하는 승객들로 붐비고 있는 서울 지하철 4호선 서울역 승강장. 뉴스1

출근하는 승객들로 붐비고 있는 서울 지하철 4호선 서울역 승강장. 뉴스1

평년보다 일찍 찾아온 폭염과 무더위로 인해 지하철 이용객들의 민원도 쏟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전동차 내에서도 위치에 따라 최대 6도 가량 온도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더위를 많이 타는 승객은 상대적으로 시원한 객실 양쪽 끝 교통약자 배려석 주변을 이용하면 좋다.

서울 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는 이달(1~14일) 승객들이 제기한 불편 민원 총 5만9,386건 중 ‘덥다’ ‘춥다’는 냉·난방 불편 민원이 86.1%(5만1,145건) 차지했다고 20일 밝혔다. 공사는 "평년보다 더위가 일찍 시작돼 냉난방 불편 민원이 4월부터 급격히 늘었다"고 말했다.

지하철 객실 내 공기 흐름도. 서울교통공사 제공

지하철 객실 내 공기 흐름도. 서울교통공사 제공

냉난방 민원 폭증은 열차 내 냉기 흐름에 따라 온도가 다른 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공사가 열차 냉방 가동 시 전동차 내부 온도를 측정한 결과, 좌석 위치에 따라 온도가 2~4도 차이나고, 승객이 많은 경우엔 온도 차가 최대 6도까지 벌어졌다. 같은 열차 내에 있더라도 덥다고 느끼는 승객과 춥다고 느끼는 승객이 동시에 나올 수밖에 없는 이유다.

공사는 "객실 양쪽 끝 교통약자 배려석 주변이 가장 온도가 낮고, 객실 중앙부는 가장 온도가 높다"며 "승객들이 체감 온도에 맞춰 열차 내 자리를 잡으면 보다 쾌적하게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추우면 객실 중앙·약냉방칸 이용 추천

지하철 1~8호선 약냉방칸 위치(2호선은 없음). 서울교통공사 제공

지하철 1~8호선 약냉방칸 위치(2호선은 없음). 서울교통공사 제공

일반 전동차 냉방 설정온도가 24도로 운영되는 여름철에 냉방 추위에 민감한 승객이라면 일반칸에 비해 1도 높게 운영되는 약냉방칸 이용을 공사는 추천했다. 약냉방칸은 1,3,4호선에서는 4·7번째 칸이며 5,6,7호선은 4·5번째칸, 8호선은 3·4번째 칸이다. 2호선은 혼잡도가 높아 약냉방칸을 별도로 운영하지 않는다.

열차가 혼잡할 경우 객실 내 온도가 올라가는 점을 고려해 공사 공식 앱인 ‘또타 지하철’에서 열차 내 혼잡도 정보를 탑승 전 확인해 덜 붐비는 칸을 이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공사는 2호선 본선(지선 제외)과 3호선은 실시간 혼잡도를 제공하고, 나머지 호선은 직전 3개월, 요일별, 10분 평균 혼잡도를 분석한 정보를 대체 제공하고 있다.

박민식 기자

관련 이슈태그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