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인야후 "연내 네이버와 시스템 분리"… 총무성 보고서 제출 2주 앞 '네이버 지우기' 속도

입력
2024.06.18 18:00
수정
2024.06.18 21:55
1면
구독

라인야후 주총서 '탈네이버' 강조
"일본 내 서비스 네이버 위탁 종료"
라인 아버지 신중호 이사회서 제외

메신저 라인 운영사 일본 라인야후의 한국 법인인 라인플러스 직원이 지난달 14일 경기 성남시 분당구 본사로 들어가고 있다. 뉴스1

메신저 라인 운영사 일본 라인야후의 한국 법인인 라인플러스 직원이 지난달 14일 경기 성남시 분당구 본사로 들어가고 있다. 뉴스1

일본 메신저 '라인' 운영사 라인야후가 일본 총무성 행정지도에 대한 보고서 제출 시한(7월 1일)을 앞두고 대주주인 '한국 네이버 끊어내기'에 속도를 내고 있다. 애초 계획보다 앞당겨 연내에 네이버와 시스템을 분리하고, 일본 국내 서비스 사업에서도 위탁 관계를 종료할 계획이다. 관련 계획은 행정지도 보고서를 제출하는 7월에 발표한다.

행정지도 보고서 제출할 7월에 "위탁 종료 계획 발표"

이데자와 다케시 라인야후 최고경영자(CEO)는 18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주주총회에서 "당사는 네이버 클라우드와 종업원용 시스템의 인증 기반 분리를 2024년도(2024년 4월~2025년 3월) 안에 완료하도록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당사 자회사는 2026년도(2026년 4월~2027년 3월) 안에 (네이버와) 시스템 분리를 완료할 예정이었지만, 더 앞당길 수 있도록 계획을 짜고 있다"고 강조했다.

일본 국내 사업에서도 네이버와의 관계 정리에 나선다. 이데자와 CEO는 "거의 모든 국내(일본)용 서비스 사업에서도 네이버와 위탁 관계를 종료해 국내화를 추진하겠다"며 "위탁 종료 등의 계획은 7월쯤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라인야후는 7월 1일 네이버와의 자본 관계 재검토, 안전 관리 강화 대책을 담은 보고서를 총무성에 제출해야 한다.

이데자와 다케시 라인야후 최고경영자(CEO)가 18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주주총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라인야후 홈페이지 캡처

이데자와 다케시 라인야후 최고경영자(CEO)가 18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주주총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라인야후 홈페이지 캡처

라인야후는 이미 주주총회에 앞서 네이버와의 관계를 하나둘씩 정리해 왔다. 지난 13일에는 이용자 4,400만 명을 보유한 결제 서비스 '라인페이'를 2025년 4월에 종료하고, 모기업인 소프트뱅크가 주도하는 '페이페이'로 통합한다고 발표했다. 라인야후 계열사인 포털사이트 야후재팬은 지난달 30일 야후 지식백과 인공지능(AI) 답변 기능에서 네이버가 개발한 '클로바X'를 배제했다.

자본 관계 재검토 말 아꼈지만… "움직임 있으면 발표"

그러나 행정지도의 핵심인 '자본 관계 재검토'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이데자와 CEO는 "당사는 모기업의 자본 관계 변경을 결정할 위치는 아니지만 모기업의 요청을 받아 검토하고 있다"며 "현시점에서 결정된 것은 없지만, 자본 관계 조정 내용이나 무언가 움직임이 있으면 즉시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일본 총무성은 지난해 11월 네이버 클라우드가 사이버 공격을 받아 라인야후에서 약 52만 건의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사건이 발생하자 자본 관계 재검토를 요구하는 행정지도를 실시했다. 위탁처인 네이버가 라인야후의 모기업이라 관리·감독이 어려우니 조정이 필요하다고 한 것인데, 일본 측이 네이버의 대주주 지위를 빼앗아 라인야후를 완전한 일본 기업으로 탈바꿈시키려 한다는 논란이 일었다. 라인야후의 대주주는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각각 50%씩 출자해 설립한 'A홀딩스'로 사실상 네이버, 소프트뱅크가 대주주다.

일본 메신저 라인 운영사 라인야후가 18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주주총회에서 주주들에게 이사회 재편 방안을 설명하고 있다. 유일한 한국인 이사였던 신중호(아랫줄 왼쪽 세 번째) 최고제품책임자(CPO)는 이사회에서 제외됐다. 라인야후 홈페이지 캡처

일본 메신저 라인 운영사 라인야후가 18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주주총회에서 주주들에게 이사회 재편 방안을 설명하고 있다. 유일한 한국인 이사였던 신중호(아랫줄 왼쪽 세 번째) 최고제품책임자(CPO)는 이사회에서 제외됐다. 라인야후 홈페이지 캡처

라인야후 이사회에서의 네이버 지우기 작업도 마무리했다. 라인야후는 이날 주주총회에서 이사회 재편 안건을 통과시키며 '라인의 아버지'로 불리는 네이버 측 인사 신중호 최고제품책임자(CPO)를 이사회에서 제외했다. 사내이사는 기존 4명에서 2명(가와베 겐타로 회장, 이데자와 CEO)으로, 사외이사는 3명에서 4명으로 늘렸다. 이사 중 유일한 한국인이었던 신 CPO를 빼면서 새 이사회를 전원 일본인으로 채웠다. 이데자와 CEO는 '이사 모두 일본인이라 다양성을 잃었다'는 지적에 "신 CPO는 계속 CPO 업무를 맡는다. 사외이사 비중을 높여 다양성을 오히려 강화했다"고 주장했다.

도쿄= 류호 특파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