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은 새로운 시작"... 499일 만에 서울광장 떠난 이태원 분향소

입력
2024.06.16 18:00
10면
구독

서울시청 인근 빌딩 1층으로 이전

16일 오후 서울광장에 마련된 10·29 이태원 참사 합동 분향소에서 유족들이 영정을 들고 서울 중구 부림빌딩에 마련된 새로운 분향소로 행진을 준비하고 있다. 뉴시스

16일 오후 서울광장에 마련된 10·29 이태원 참사 합동 분향소에서 유족들이 영정을 들고 서울 중구 부림빌딩에 마련된 새로운 분향소로 행진을 준비하고 있다. 뉴시스


"2024년 6월 16일, 서울광장 분향소를 마무리하고 새로운 길로 갑니다. 고마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정민 10·29 이태원참사 유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이 16일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서 '분향소의 마지막 날'을 선언했다. 서울광장에 분향소를 설치한 지 499일 만이다. 이 위원장은 "오늘은 내일을 준비하는 시간이고, 끝은 시작을 알리는 메시지"라며 "우리는 오늘 이 분향소를 끝내며 새로운 시작을 열고자 한다"고 눈물을 삼키며 말했다.

서울광장에 설치된 10·29 이태원 참사 희생자 합동 분향소가 서울시청 인근의 부림빌딩으로 터전을 옮겼다. 유가족들은 11월 2일까지 이 공간을 임시 기억·소통 공간인 '별들의 집'으로 운영한다고 밝혔다. 애도의 시간을 끝내고 진상규명에 힘을 쏟는다는 취지다.

오전부터 진행된 분향소 이전 행사는 시민 조문을 시작으로 4대 종교(개신교·원불교·천주교·불교) 추모 의식, 운영종료식, 임시공간 개소식 등으로 이어졌다. 우원식 국회의장,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이태원참사대책특별위원장, 권영국 정의당 상임대표, 김재연 진보당 상임대표,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16일 오후 서울광장에 마련된 10·29 이태원 참사 합동 분향소에서 수녀들이 향을 올리고 있다. 전유진 기자

16일 오후 서울광장에 마련된 10·29 이태원 참사 합동 분향소에서 수녀들이 향을 올리고 있다. 전유진 기자

우원식 의장은 "분향소는 희생자를 추모하고 유족을 위로하는 공간으로 큰 역할을 해왔다"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이 최우선이라는 각오와 다짐으로 22대 국회를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남인순 의원은 "특별조사위원회 및 추모위원회 구성 등에 차질이 없도록 국회에서 꼼꼼히 챙기겠다"며 "항상 잊지 않고 여러분과 손잡겠다"고 약속했다. 권영국 대표도 "분향소 이전은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향한 힘찬 발걸음을 새로 시작한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분향소 이전이 공식 선언되자, 유가족들은 종교인의 도움을 받아 영정을 내렸다. 499일간 분향소에 자리했던 영정을 품에 안자 유가족들은 눈물을 숨기지 못했다. 보라색 옷을 입고 길게 늘어서 부림빌딩으로 이동하는 행렬에서도, 유가족들은 영정을 연신 쓰다듬고 희생자의 이름을 부르며 눈물 흘렸다.

시민들도 함께 걸으며 마음을 보탰다. 남편과 함께 행사를 찾은 이모(59)씨는 "분향소를 방문할 때마다 마음이 아팠다"며 "비록 임시지만 이전 공간이 마련돼서 다행"이라고 말했다. 성동구에서 온 이현옥(68)씨도 "내 자식이란 생각이 들어서 오지 않을 수 없었다"며 "분향소 이전을 계기로 사회가 안전한 나라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했으면 한다"고 전했다.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이 16일 서울 중구 부림빌딩에 마련된 임시 기억·소통공간 '별들의 집'에서 희생자들의 사진을 보며 슬픔에 잠겨 있다. 연합뉴스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이 16일 서울 중구 부림빌딩에 마련된 임시 기억·소통공간 '별들의 집'에서 희생자들의 사진을 보며 슬픔에 잠겨 있다. 연합뉴스

약 10분간 행진 끝에 도착한 임시 추모 공간 '별들의 집'은 빌딩 1층 실내 공간에 마련됐다. 입구에서 보이는 흰 벽에 참사 희생자들의 사진이 걸려 있었고, 한쪽 벽엔 2022년 10월 29일 발생한 참사 이후 지금까지 특별법 제정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해왔는지 알리는 연대표도 설치돼 있었다.

'별들의 집'에 들어선 유가족들은 좋은 공간을 찾아 다행이지만, 그럼에도 아쉬움과 우려가 남았다며 복잡한 심경을 드러냈다. 고(故) 최보람씨의 고모 최경아씨는 "길바닥에서 영정을 끌어안고 투쟁하는 마음으로 있었는데 막상 여기에 와보니 너무 아늑하고 좋다"면서도 "이제 눈에 보이지 않는 곳으로 들어가 혹시라도 시민들에게 잊히게 될까 두렵다"고 말했다. 고(故) 최유진씨의 아버지 최정주씨는 "이곳이 죽음의 공간이 아닌, 아이들을 기억하고 안전에 대해 다시 생각할 수 있는 생의 공간이 됐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전유진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