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여자 노인만 차로 덮쳐 살해...시청률 터진 교통사고 범죄수사극 '크래시', 소재부터 다르다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수사물로 어떤 게 괜찮을까요?"
드라마 소재를 고민하던 오수진 작가는 친분이 있던 김은희 작가를 만나 이렇게 물었다. 때는 2018년. 김 작가의 남편이자 감독인 장항준의 연출부에서 20여 년 동안 일한 그는 작가 데뷔를 준비하고 있었다.
"소재가 남은 게 별로 없죠, 교통사고 말고는." 김 작가의 말을 듣는 순간 오 작가의 머리엔 번쩍하고 불꽃이 튀었다. 그는 교통사고 범죄 수사물 기획을 마음먹고 사례를 찾기 시작했다. 수사 연구 전문지가 있다는 얘기를 전해 듣고 국회도서관에서 자료를 뒤적였고 경찰서도 찾아갔다. 자료 조사 과정에서 한 사건이 그의 가슴에 콕 박혔다. 2007~2008년 충남에서 잇따라 벌어진 '할머니 교통사고 사망 사건'이었다.
사건의 골자는 이랬다. 남성 김모씨가 1년 반 동안 연속으로 교통사고를 냈는데 공교롭게 피해자는 모두 60대 후반~70대 중반 여성이었다. 김씨는 "광고 전단을 붙이려고 가는 길이었는데 갑자기 도로에서 할머니가 눈에 띄었다"며 사고 때마다 불가항력이었다는 식으로 진술했고, 보험사로부터 총 1억 원의 형사 합의 지원금을 타 냈다. 그중 유족에게 준 합의금은 2,000만 원에 불과했다.
"형사 합의 지원금을 받기 위해 교통사고를 일부러 낸 사건이었어요. 논밭 근처 등 인적이 드문 도로에서 힘없는 노인들만 골라 범행을 저질렀다는 점에 화가 치밀었죠. 사고 후 상대적으로 유족과 합의가 쉬울 거라 판단한 거니까요. 보험사기 특별조사관이 이 사건들을 서울의 한 경찰서 강력팀장에게 제보하면서 범죄의 실체가 드러났죠. 대본을 쓸 때 꼭 첫 회 에피소드로 다뤄야겠다고 마음을 먹었고요." 11일 한국일보와 전화로 만난 오 작가의 말이다.
국내 첫 교통범죄 수사물... '제2의 우영우'?
지난달 방송된 ENA 드라마 '크래시' 1, 2화에서 다룬 '노인만 노린 교통사고 범죄'는 이렇게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국내 첫 교통범죄 수사극인 '크래시'는 보복 운전이나 고라니처럼 갑자기 튀어나와 안전을 위협하는 전동킥보드 이용자 '킥라니' 등 현실 속 문제를 추리물처럼 다룬다. 극 중 곽선영, 이민기 등으로 구성된 교통범죄수사팀(TCI·Traffic Crime Investigation) 이름도 2013년 서울경찰청에 생긴 팀 이름에서 그대로 따왔다. ①일상 곳곳에서 벌어진 교통사고 범죄를 다뤄 공감을 사고 ②남자 선배가 수사를 주도하는 범죄수사물 속 남녀 주인공의 전형적인 성역할을 홀라당 뒤집어 통쾌함을 주면서 드라마는 시청자의 입소문을 타고 있다. 1회에 2.2%였던 시청률은 10회 6.3%로 뛰었다.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17.5%·2022)에 이어 ENA 채널 역대 두 번째로 높은 기록으로, 최근 화제를 모은 tvN 드라마 '선재 업고 튀어' 최고 시청률(5.8%)보다 높은 수치다.
여러 방송 관계자의 말을 종합하면, '크래시'는 방송되기까지 우여곡절이 많았다. 남자 주인공 섭외가 난관이었다. 머리 회전은 빠르지만 사회성이 떨어지고 체력이 약해 범인도 놓치는 등 극 중반까지 유약한 모습으로 나오는 탓에 여러 남자 배우가 주인공인 차연호 역 제안을 고사했다. 기획 의도를 보고 이 드라마에 관심을 보인 한 지상파 방송사는 주연 배우 캐스팅을 두고 제작사와 의견 차이로 편성을 포기했다. '크래시'가 ENA에서 방송되기까지 6년 넘게 걸린 배경이다. 이런 제작 과정을 고려하면 흥행 반전이다.
강력 살인 사건에서... TV·극장 파고든 '교통사고'
K콘텐츠 시장에선 '크래시'처럼 교통사고 범죄를 소재로 한 콘텐츠들이 잇따라 제작되고 있다. 한문철 변호사가 교통사고 범죄와 관련 갈등을 다룬 콘텐츠를 유튜브 채널에 공개해 인기를 끌자 JTBC는 그 포맷을 활용해 '한블리'란 프로그램을 단독 편성했고, SBS는 '맨 인 블랙박스'를 내보내고 있다. 극장엔 일찌감치 '뺑소니 전담반'을 소재로 한 영화('뺑반'·2019)까지 걸렸다. 그간 K콘텐츠 시장에서 '살인의 추억'(2003)·'추격자'(2008) 등 잔혹한 연쇄 살인 사건이 장르 드라마와 영화 소재로 주로 활용됐고, 교통사고 범죄는 전면에 다뤄진 적이 거의 없었던 것을 고려하면 새로운 흐름이다.
교통사고 소재는 새삼 왜 주목받을까. '크래시'의 오 작가는 교통사고 범죄를 소재로 대본을 쓴 이유에 대해 "우리 모두가 피해자이자 가해자가 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교통사고 범죄는 사이코패스 범죄와 달리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생활밀착형 불의'라 시청자 몰입을 상대적으로 쉬 이끌 수 있다는 게 강점으로 꼽힌다.
일상 속 공정에 대한 요구가 커진 사회적 분위기도 한몫했다. 김헌식 중원대 사회문화대 교수는 "민생 문제에 대한 불만이 커진 시청자가 교통 법규 위반 판정 등에 적극 참여하고 처벌 과정까지 지켜보며 '일상 속 정의구현'을 대리만족하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는 "'가수 김호중 음주 뺑소니 사건'을 향한 사회적 공분에서 엿볼 수 있듯 교통사고 범죄에 대한 경각심이 예전과 달리 부쩍 커졌다"며 "중대 범죄로 인식이 바뀌는 와중에 교통사고가 때론 사고로 위장된 권력형 비리와도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콘텐츠 소재로 자주 쓰이는 것"이라고 흐름을 짚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