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일 총리 면담 당일… 일본은 화력 훈련, 중국은 센카쿠 주변 항해

입력
2024.05.26 22:21
구독

일 육상자위대, 최대 규모 실탄 사격 훈련
센카쿠 주변선 중국 해경국 선박 4척 포착

일본 육상자위대 전차가 26일 시즈오카현 히가시후지 연습장에서 실탄 사격 훈련인 '후지종합화력연습' 도중 화염을 내뿜고 있다. 교도 연합뉴스

일본 육상자위대 전차가 26일 시즈오카현 히가시후지 연습장에서 실탄 사격 훈련인 '후지종합화력연습' 도중 화염을 내뿜고 있다. 교도 연합뉴스

한중일 정상회의 하루 전날인 26일, 일본 자위대가 자국 영토에서 최대 규모의 화력 훈련을 실시했다. 이에 맞서는 듯, 중국은 일본과의 영유권 분쟁 지역인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 주변 해상 순찰 활동을 계속 이어갔다.

일본 교도통신과 산케이신문 등에 따르면 일본 육상자위대는 이날 오후 일본 시즈오카현 히가시후지 연습장에서 ‘후지종합화력연습’을 벌였다. 전차와 화포는 물론, 자위대가 보유한 오스프리 수송기, 대전차 헬리콥터, 정찰용 무인기(드론) 등이 등장한 일본 내 최대 규모의 실탄 사격 훈련이었다. 오후 훈련에는 자위대원 약 2,100명이 참여했고, 사용된 탄약류 47.8톤을 금액으로 환산하면 5억6,000만 엔(약 49억 원)어치에 달한다. 야간 훈련도 포함할 경우, 탄약류는 총 68.4톤(8억4,000만 엔·약 73억 원)으로 늘어난다.

이번 훈련은 중국의 해양 진출을 염두에 둔 상황에서 진행됐다. 이미 일본 정부는 센카쿠 열도를 포함한 난세이 제도 방위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도 도서부에 침공하는 적을 맞아 싸우는 상황을 가정해 훈련을 실시했다. 산케이는 “도서부 방위에 대한 대응력을 어필하려는 목적이 있다”고 전했다.

중국 해경 선박(오른쪽)이 지난달 27일 일본 우오쓰리섬 앞바다에서 일본 해안 경비선 주변을 항해하고 있다. 교도·로이터 연합뉴스

중국 해경 선박(오른쪽)이 지난달 27일 일본 우오쓰리섬 앞바다에서 일본 해안 경비선 주변을 항해하고 있다. 교도·로이터 연합뉴스

이날 센카쿠 열도 주변 일본 영해 바깥 접속 수역에서는 중국 해경국 소속 선박 4척이 항해하는 모습도 포착됐다. 교도통신은 일본 해상보안청 순시선이 해당 선박들을 상대로 영해에 접근하지 말라고 경고했다며 “센카쿠 주변에서 중국 당국의 배가 확인된 것은 157일 연속”이라고 전했다. 의도적 도발로 보긴 힘들지만,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의 양자 회담을 앞둔 시점에 이러한 모습이 연출됐다는 점에서 중일 간 안보 긴장 관계를 상징적으로 보여 준 셈이다.

이번 한중일 정상회의에서 ‘안보 협력 강화’ 모색은 애초부터 쉽지 않을 것으로 관측돼 왔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지난 21일 이번 회의에 대해 “(한중일 3국의) 인적 교류, 지속 가능한 개발 등 6개 분야 협력 방침을 정리한 공동 문서 발표를 목표로 하며, 미국의 동맹인 한국·일본이 안보 측면에서는 중국과 선을 그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신문은 “과거 한중일 정상회의에서는 북한 핵 개발과 관련해 한반도 비핵화 보조를 맞춰 왔으나, 이번에는 합의점을 찾기가 더 힘들 것”이라고 짚었다.

김정우 기자

관련 이슈태그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