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정상회의 2019년 이후 다시 열린다... 26~27일 서울에서

입력
2024.05.23 16:30
수정
2024.05.26 11:46
구독

지난해 9월 6일 윤석열 대통령이 인도네시아(현지시간) 자카르타 컨벤션 센터(JCC)에서 열린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에서 기시다 후미오(왼쪽 첫 번째) 일본 총리, 리창(네 번째) 중국 총리, 조코 위도도(세 번째) 인도네시아 대통령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9월 6일 윤석열 대통령이 인도네시아(현지시간) 자카르타 컨벤션 센터(JCC)에서 열린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에서 기시다 후미오(왼쪽 첫 번째) 일본 총리, 리창(네 번째) 중국 총리, 조코 위도도(세 번째) 인도네시아 대통령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리창 중국 총리,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26, 27일 서울에서 만난다. 한중일 3국 정상회의는 2019년 12월 중국 청두 이후 5년 만이다. 2008년 첫 회의를 시작해 한국-일본-중국 순으로 매년 번갈아 열던 정상협의체다.

이를 계기로 한중·한일 정상도 따로 만난다. △북한 문제를 비롯한 동북아 정세 △경제 협력 △우크라이나 전쟁을 포함한 국제 정세를 비롯해 3국이 논의하고 풀어야 할 현안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특히 최근 중국을 찾아 시진핑 주석과 만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방북을 앞둔 민감한 상황이다. 한국, 일본 대 중국의 대결구도가 재연될 수도 있다. 반면 라인야후 사태를 둘러싸고 한일 양국의 관계도 껄끄러워졌다. 3국 사이에 얽힌 실타래를 어떻게 풀어갈지 주목된다.

대통령실은 26일 한중·한일 정상회담을 열고, 27일 한중일 정상회담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한중정상회담에 대해 김태효 국가안보실 제1차장은 23일 "한국 그리고 중국 양국 간 전략적인 소통 증진, 경제통상 협력 확대와 중국 내 우호적인 투자환경 조성, 인적 문화교류 촉진, 한반도 정세를 포함한 지역 및 글로벌 현안에 대한 협력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처음 열리는 한일 정상회담에선 양국의 실질 협력 증진 방안과 한반도 정세, 한미일 협력, 인도·태평양 지역을 포함한 역내와 글로벌 협력 방안이 다뤄질 전망이다. 최근 한일 간 첨예한 이슈로 부각된 라인야후 사태에 대해서도 의견 교환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미리 의제를 정해놓진 않는다"면서도 "혹시라도 양국 정상이 각자 꼭 제기하고픈 의제가 있으면 현장에서 제기될 수 있다"고 말했다.

27일 한중일 정상회의에서 3국 정상은 '6대 중점 협력 분야'와 관련한 공동선언문을 도출할 예정이다. 대통령실은 6개 협력 분야로 △인적 교류 △기후변화 대응 협력을 통한 지속가능한 발전 도모 △경제통상협력 △보건 및 고령화 대응 협력 △과학·기술 디지털 전환 협력 △재난 및 안전 협력을 꼽았다. 김 1차장은 "공동선언은 3국 정상들의 협력 의지가 결집된 결과물인 만큼 앞으로 3국 간 각급별 협의체 운영, 그리고 협력사업의 이행을 추동하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북한 도발, 북러 무기거래 등과 관련한 국제 정세는 의제로 다뤄질지 아직 미정이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번 회의의 대다수 시간은 경제 민생 관계와 3국협력이 어떻게 무역과 산업 공급망의 협력으로 발전할 수 있는지를 비롯해 미래세대에 어떻게 이 대화체를 물려줄 것이냐 하는 주제에 더 많이 할애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현재 이러한) 공동성명이 합의되고 있고 그 안에는 일정 부분 안보와 관련한 이슈도 포함시키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28일부터 이틀간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아랍에미리트(UAE) 대통령의 국빈방문을 맞는다. 김 1차장은 "지난해 1월 윤 대통령의 UAE 국빈방문을 계기로 양국이 설정한 전통적 에너지와 청정에너지, 평화적 원자력에너지, 경제와 투자, 국방과 국방기술 등 네 가지 분야에서 양국의 협력을 더욱 높은 차원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구체적 방안들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어 6월 4, 5일 서울에서 첫 한-아프리카 정상회의를 주재한다.

김현빈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