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가는 인천 경유 비행기에서 노인들 돌연사...이유가 있었다

입력
2024.05.24 16:00
수정
2024.05.24 18:35
11면
구독

[책과 세상]
신호철 '공항으로 간 낭만 의사'

인천국제공항의 의료센터. 저상버스 제공

인천국제공항의 의료센터. 저상버스 제공

60대 남성이 붕대로 칭칭 감은 아랫배를 움켜쥐고 구급 침대에 실려 왔다. 붕대를 풀어 보니 오른쪽 사타구니 쪽의 수술 봉합 부위가 벌어져 있다. 미국 출장 중 급성맹장염으로 수술을 받은 뒤 인천국제공항으로 귀국한 승객이었다. 비싼 병원비에 놀라 수술 부위가 채 아물기도 전에 빨리 돌아오려다 탈이 난 것이다.

책 '공항으로 간 낭만 의사'는 신호철 인천국제공항 의료센터장이 20년 동안 공항에서 환자들을 만나 겪은 일을 기록한 에세이다. 그는 20여 명의 의료진과 함께 연간 7,000만 명의 공항 이용객과 7만여 명의 공항 직원을 돌본다. 책에 의료진의 영웅담은 없다. 대신 약자들과 세상의 순리가 보인다.

미국에서 출발, 인천을 경유해 베트남으로 가는 승객들이 기내에서 잇달아 돌연사한 일이 있었다. 이유가 있었다. 사망자는 베트남에서 태어난 고령의 승객들이었다. 죽기 전에 고향 땅을 다시 밟아 보려고 병에 걸리거나 쇠약해진 몸을 이끌고 장거리 비행에 나섰다가 변을 당한 것이었다.

신호철 지음·저상버스 발행·304쪽·1만7,000원

신호철 지음·저상버스 발행·304쪽·1만7,000원

매일 오후 3시가 되면 그의 진료실엔 피가 줄줄 흐르는 손가락을 부여잡은 환자가 들어온다. 점심시간에 한바탕 전쟁을 치른 뒤 저녁 장사 준비로 바쁘게 재료를 다듬다 손가락을 '썰어 버린' 식당 직원들이다. 그는 환자의 다친 손을 붕대로 과할 정도로 두툼하게 감아준다. 다쳤다는 핑계로 잠시라도 일에서 벗어나길 바라는 마음에서다. 의사 파업으로 의료 공백이 장기화하고 있는 절망적 현실에서 실낱같은 희망을 붙잡게 하는 책이다.


양승준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