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대한민국 AI 안전연구소 설립 추진… 글로벌 네트워크 동참"

입력
2024.05.21 22:20
수정
2024.05.21 22:47
1면
구독

수낙 영국 총리와 AI 서울 정상회의 공동 주재
'안전·혁신·포용 AI를 위한 서울 선언' 채택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AI 서울 정상회의'에 화상으로 참석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AI 서울 정상회의'에 화상으로 참석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열린 AI(인공지능) 서울 정상회의에서 "대한민국도 AI 안전연구소 설립을 추진하겠다"고 선언했다.

윤 대통령은 개회사에서 "AI가 미칠 수 있는 악영향을 최소화하고 우리 사회의 안녕과 민주주의가 훼손되지 않도록 AI의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며 "영국, 미국 등 주요국들의 AI 안전연구소 설립 노력을 환영하며, 대한민국도 글로벌 AI 안전성 강화를 위한 네트워크에 동참하겠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화상 방식으로 진행되는 AI 서울 정상회의는 이날부터 이틀간 우리 정부와 영국 정부 공동 주최로 열린다. 이날 진행된 '정상세션'에는 G7 정상을 비롯해 싱가포르와 호주 정상, 유엔·유럽연합(EU)·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수장, 삼성전자와 네이버, 구글 등 국내외 11개 기업 대표 등이 참석했다. 리시 수낙 영국 총리와 함께 회의를 주재한 윤 대통령은 청와대 영빈관에서 화상으로 참석했다.

윤 대통령은 "생성형 AI의 등장은 인류 사회에 막대한 파급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AI의 영향력이 커지는 만큼 딥페이크를 통한 가짜뉴스와 디지털 격차 등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고 전제했다. 이어 지난해 9월 우리 정부가 자유, 공정, 안전, 혁신, 연대의 5대 원칙을 담은 '디지털 권리장전'을 수립한 점도 상기시켰다.

윤 대통령은 "디지털은 국경을 넘어 초연결성을 지닌 만큼, 글로벌 차원의 디지털 규범이 만들어져야 한다"며, AI 서울 정상회의는 유엔 AI 결의안과 주요 7개국(G7) 차원의 '히로시마 AI 프로세스' 등 "그간 노력을 결집해 글로벌 차원의 AI 규범과 거버넌스를 진전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또 △자유롭고 개방적인 연구개발을 통한 AI 혁신 △거주지역과 소득 수준에 관계없이 누구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AI의 포용성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지난해 11월 영국에서 열린 'AI 안전성 정상회의'가 안전에 초점을 맞췄다면, 후속 성격인 이번 회의에서는 혁신과 포용성까지 의제를 확대한 것이다.

이날 정상세션 참가자들은 '안전하고 혁신적이며 포용적인 AI를 위한 서울 선언'을 채택했다. 선언은 인간 중심적인 AI를 활용해 국제 난제를 해결하고, 민주주의적 가치를 증진하며,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국제 협력을 강화할 것을 골자로 한다. 실천을 위한 부속서로 'AI 안전 과학에 대한 국제협력을 위한 서울 의향서'도 채택했다.

김경준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