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쪽 귀에 ‘다른 주파수 소리’만 들리게 하자 잠 드는 시간 51% 줄어

입력
2024.05.21 21:08
구독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수면유도제 등 약을 먹지 않고 전자기기만 활용해 잠 드는 시간을 절반 정도 줄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에 따라 효과적인 비약물 불면증 치료 가능성 기대감을 낳고 있다.

이는 윤창호·이우진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교수 연구팀은 특정 뇌파를 유도하는 ‘동적 바이노럴 비트’ 기술을 이용해 잠 드는 시간을 51% 줄였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이에 따라 가정에서도 쉽게 불면증 치료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바이노럴 비트란 인공적으로 뇌파를 만들어 내는 기술이다. 양쪽 귀에 서로 다른 주파수 소리를 보내면 우리 뇌에서 두 주파수 차이만큼 파동을 인식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양쪽 귀는 각각 좌·우뇌에 연결돼 있어 주파수 차이를 이용한다면 수면 상황에 적절한 뇌파를 유도할 수 있다. 가령 오른쪽 귀에 300Hz, 왼쪽 귀에 310Hz의 소리를 들려주면 10Hz의 뇌파가 생성되는 식이다.

연구팀은 이를 활용해 불면증 환자 왼쪽과 오른쪽 귀에 2Hz 주파수 차이가 나도록 다양한 주파수 소리를 들려줬다. ‘깊은 수면 상태’에 해당하는 2Hz(헤르츠) 대역 뇌파를 유도하기 위해서다.

이 결과, 불면증 환자들은 불을 끄고 잠들기까지 시간(입면 시간)이 51%나 단축됐다. 수면 효율성도 3.8% 증가했다. 교감신경계 활성 지표인 심장박동 변이는 저주파 영역에서 25% 감소하는 결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

교감신경계 활성화는 불면증을 유발하는 주요인이기에 불면증 환자가 잠들기 좋은 안정적인 상태로 유도됐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이우진 교수는 “수면장애 심각성을 이전보다 환자가 잘 이해하고 있지만, 여전히 수면제 등 약물 치료 거부감이 큰 것이 사실”이라며 “대표적인 비약물 치료인 인지 행동 치료는 시간도 오래 걸리고 병원 방문이 쉽지 않은 등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으로 유지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고 했다.

이 교수는 “이번 연구는 이러한 기존 치료법의 여러 한계를 극복해 가정에서 지속적으로 간편하게 사용하며 불면증 개선 및 수면의 질을 높이는 비약물 치료 방법으로 동적 바이노럴 비트 기술의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수면연구학회에서 발간하는국제 학술지 ‘Sleep’에 실렸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