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혐오가 걱정돼요? 문학을 읽으세요"...서평가 김미옥이 고른 한 권의 책, '인권의 발명'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로마시대 철학자 키케로는 "책 없는 방은 영혼 없는 몸과 같다"고 했습니다. 도대체 책이 뭐길래, 어떤 사람들은 집의 방 한 칸을 통째로 책에 내어주는 걸까요. 서재가 품은 한 사람의 우주에 빠져 들어가 봅니다.
"요즘 우리 시대 최대의 고민은 혐오, 증오, 분노 같은 거잖아요. 그런데 뇌신경학자들이 쓴 책을 보면 혐오, 증오, 분노를 줄이는 가장 좋은 방법은 노출을 늘리는 거래요. 자주자주, 그리고 오래 노출시키면 '아, 우리와 별반 다를 바 없구나'라고 느끼면서 그 대상에 대한 거부감이 차츰 줄어든다는 거지요. 이 노출을 가장 많이, 한꺼번에 할 수 있는 게 뭘까요. 전 문학이라고 봅니다. 그래서 문학이 가치 있는 것이죠. 그러니까 이 책의 제목이 딱 맞죠. '인권의 발명'."
서평가로서 딱 한 권의 책을 꼽아달라고 하자 김미옥(66)씨는 망설이지 않고 서재에서 한 권을 꺼내왔다. '인권의 발명'(교유서가 발행). 프랑스사, 특히 혁명사를 파고들어 이름을 얻은 미국의 사학자 린 헌트의 책이다. 프랑스혁명이라면 계몽주의, 계몽주의라면 우리는 흔히 '천부인권'을 떠올린다.
헌트는 이 책을 통해 의문을 제기한다. 천부인권 같은 추상적 사고에 대중들이 논리적으로 설득됐다고? 그보다 인권 개념은 대중들의 마음속에서 '발명'됐다고 보는 게 옳다는 주장을 담았다. 헌트는 특히 18세기 대중소설, 특히 싸구려 통속 소설의 유행에 주목했다. 그 책을 읽은 사람들 사이에서 공감의 깊이와 폭이 넓어지면서 인권의 개념이 생겨났다는 것이다. 헌트는 프랑스대혁명의 주요 요인 중 하나로 당대의 포르노그래피를 지목한 학자이기도 하다. 언제나 그렇듯 절대 권력에 대한 가장 강력한 정치적 비토는, 그 대상을 포르노 주인공으로 취급해버리는 유언비어다.
"제가 이 책이 너무 좋다니까 잘 이해가 안 된다는 분들도 계신데, 전 이 책을 읽자마자 바로 이해했어요. 인권이란 게 대단한 논리, 거창한 선언으로 작동하는 게 아니라 타인의 고통에 대한 작은 공감에서 시작하는 거거든요. 공감 또한 그저 그런 대중소설을 읽고 눈물지을 정도만 해도 충분하다는 거예요. 이거 참 음미할수록 괜찮은 얘기지 않나요. 소수자, 인권, 혐오, 차별 같은 문제를 고민한다? 어릴 적부터 문학을 꾸준히 읽히는 게 해법입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