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폭 땐 주요대 가기 힘든데... 서울 고교 학폭 심의건수 4년새 최고

입력
2024.05.12 14:00
수정
2024.05.12 14:15
10면
구독

종로학원, 학교알리미 분석 지난해 693건
강남 48건으로 4위 가파른 상승... 노원 1위
주요대, 내년부터 가해자 지원불가·감점 조치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지난해 서울 소재 고등학교의 학교폭력 심의 건수가 최근 4년 새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학폭 엄정대응 기조에 따라 주요 대학들은 내년에 치러질 2026학년도 대입 전형부터 학폭 조치 사항을 필수 반영해 가해 학생에게 불이익을 주겠다고 예고한 상황이다.

종로학원은 초·중·고교 정보공시 사이트 '학교알리미'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서울 시내 고교의 학폭 심의 건수가 총 693건(292개교)으로 집계됐다고 12일 밝혔다. 서울시교육청 산하 11개 교육지원청에서 관할 고등학교의 학폭 사건을 심의한 건수다. 이 수치는 2020년 코로나19 유행에 따른 비대면수업 시행으로 412건으로 급감했다가 2021년 622건, 2022년 671건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25개 자치구별로는 노원구 소재 고교의 학폭 심의 건수가 79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강서구(53건) 은평구(52건) 강남구(48건) 송파구(44건) 관악구·양천구(각 41건) 순이었다. 특히 강남구는 2021년 15위(18건), 2022년 8위(33건)에 이어 지난해 4위로 학폭 심의가 대폭 늘어나는 추세다.

고교 유형별로 보면, 자율형 사립고(자사고)의 학폭 심의 건수가 4년 연속 증가했다. 지난해는 47건으로 서울 전체 심의 건수의 6.8%를 차지했다. 2019년 4.6%와 비교하면 2%포인트 이상 늘어난 수치다.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는 187건(27.0%), 학교 수가 가장 많은 일반고는 432건(62.3%)이었다. 개별 학교 중 최다 심의 건수를 기록한 곳은 일반고는 양천구 소재 A고교 13건, 자사고는 강남구 B고교 9건, 특성화고는 송파구 C고교 9건이었다.

학폭 가해학생이 받은 처분은 '접촉과 협박, 보복행위 금지'(2호)가 28.5%로 가장 많았다. 이어 '학교봉사'(3호) 20.8%, '특별교육 이수 및 심리치료'(5호) 20.6%, '서면사과'(1호) 17.0% 순이었다.

지난해 학폭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재부상하자 주요 대학들은 2026학년도 입시부터 정시 전형에서 학폭 처분을 받은 학생에게 감점을 주기로 했다. 특히, 성균관대와 서강대는 2호 이상부터 0점 처리해 사실상 불합격시킨다.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는 수시에서도 1호부터 지원 불가 또는 감점 처리하기로 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학폭 처분이 대입에 큰 변수가 되면서 상위권 일반고와 자사고 등에서 오히려 심의가 더 빈번하게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수험생들은 경미한 사건일지라도 학폭 심의에 회부될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을 늘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손현성 기자

관련 이슈태그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