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사랑은 사소해 보이는 데서부터

입력
2024.05.05 22:00
22면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흔히 5월을 가정의 달이라고 하는데, 1993년 유엔이 매년 5월 15일을 세계 가정의 날로 지정하고, 2004년 제정된 건강가정기본법에서 매년 5월을 가정의 달로 하기로 규정한 데서 유래하는 것 같다. 그 이름에 걸맞게 5월에는 어린이날, 어버이날, 가정의 날, 부부의 날에 성년의 날까지 가족 관계에 관한 기념일이 총집결해 있다. 이렇게 5월을 가정의 달로 기리는 것은 가정이 사회의 가장 기본적인 구성단위란 점과 함께 역설적으로 가족 사이의 사랑이 쉽지만은 않음을 반영하는 것이 아닐까 한다. 가정은 무조건적인 사랑이 베풀어지는 곳임과 동시에 가장 큰 상처를 받을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니 말이다.

신약성경에 '집안 식구가 바로 자기 원수다'라는 말씀이 있다. 여러 의미가 있겠지만 가족 관계의 어려움을 말한 것임은 분명해 보인다. 이 말과 관련해 소설가 최인호의 유고집 '눈물'에 재미있는 구절이 있다. 원수를 사랑하라는 말은 안 보면 그만인 적, 나쁜 사람이 아니라 가족같이 가장 가까운 사람들을 사랑하라는 뜻이라는 것이다. 물론 원수가 이 의미에 국한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그럼에도 이 구절이 원수의 의미에 대해 주는 통찰이 있다.

보통 원수는 원한이 맺힐 정도로 자기에게 해를 끼친 사람이나 집단을 말한다. 나에게 해를 끼침, 즉 '가해'가 원수가 되는 결정적 요소처럼 보이지만 위 구절은 원수가 가해 못지않게 관계의 문제라는 것을 지적하는 것 같다. 나에게 엄청난 해를 끼친 사람이 있다고 해도 그 사람이 안 보면 그만일 사이라면 그는 가해자일지언정 원수가 되기는 어려울 것이다. 원수는 나에게 해를 끼쳤을 뿐만 아니라 그와의 관계나 관계의 영향력을 피할 수 없어 지속적 관계 속에서 피해와 고통을 증폭시키거나 상기시키는 사람일 가능성이 크다. 그렇다면 원수는 이웃 바깥과 너머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이웃과 중첩돼 이웃 가운데 있을 가능성이 크고 그 가운데 그 밀도가 가장 높은 것이 집안 식구일 것이다. 이같이 가족처럼 가해보다 관계의 의미가 더 부각되는 원수를 '웬수'라고 하기도 한다. 인터넷에 떠도는 유머 중에 이러한 원수와 웬수의 차이를 예리하게 지적하는 말이 있다. '원수는 안 만나야 하는 상대이고, 웬수는 안 만날 수가 없는 상대이다.'

'사랑은 빈말이라도 따뜻이 말해주는 것이다'. 이성복 시인의 시 '아들에게'의 한 구절이다. 이 구절을 처음 본 것은 20, 30대쯤이었던 것 같은데 그때는 위 구절에 잘 동의가 되지 않았다. 사랑이 그렇게 하찮고 사소한 것인가 하는 반발감이 있었다. 세월이 흐르고 나이를 먹은 요즘에는 그런 반발감이 거의 들지 않는다. 빈말이라는 것이 말 그대로 속이 비어 있는 말, 공허한 말이므로 내면에 사랑이 충만하지 않는 한, 빈말이라도 따뜻이 말해주는 것은 생각처럼 쉽지 않은 일임을 실감했기 때문이다. 사랑은 결코 하찮거나 사소하지 않다. 그러나 사랑은 하찮거나 사소해 보이는 데서부터 출발해야 그 진정성이 담보되는 게 아닐까. 가장 가까이에 있는 가족들과의 일상적 관계에서부터 말이다. 그래야 가정이 지상의 천국은 못 될망정 원수의 산실이 되는 것은 피할 수 있지 않을까.



우재욱 변호사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