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인야후 사태에도 한국 스타트업 빠르게 품는 일본, 왜?

입력
2024.06.07 04:30
18면
구독

일본 정부 DX 분야 지원 확대로 국내 스타트업 몰려
"기회 요인은 확실… 보안 경쟁력 강화 등 준비 필요"

2023년 12월 일본 도쿄에서 열린 '한일 스타트업 교류회(Korea Startup Mingle Tokyo)'에 국내 스타트업 종사자들이 참석해 간담회를 하고 있다. 원티드랩 제공

2023년 12월 일본 도쿄에서 열린 '한일 스타트업 교류회(Korea Startup Mingle Tokyo)'에 국내 스타트업 종사자들이 참석해 간담회를 하고 있다. 원티드랩 제공


#. 한국의 HR테크(인적 자원 기술) 기업인 원티드랩은 최근 일본 자회사 '원티드 재팬(Wanted Japan)'을 세우고 일본 채용 시장의 문을 두드리고 있다. 일본은 구직자들이 이력서를 쓰고 출력해서 회사에 우편 접수하는 경우가 많은데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채용 전 과정을 온라인에서 처리하도록 시스템을 바꾸겠다는 것. 이를 위해 원티드 재팬은 일본의 인재 커리어 매칭 기업 라프라스(LAPRAS), 이력서 작성 서비스 (주)야깃슈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 인공지능(AI) 광학 문자 인식(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기술로 종이 문서를 디지털화하는 악어디지털도 일본 시장 진출에 공을 들이고 있다. 일본경제연구센터 조사에 따르면 일본의 문서 전자화 시장은 약 50조 원에 달한다. 2005년부터 전자 문서에 종이 문서와 같은 법적 지위를 줘 전자 문서 시장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이에 악어디지털은 2017년에 일본 자회사를 설립한 뒤 지속적으로 일본어 인식 기술을 고도화하고 있다.

라인야후 사태로 일본 정부의 관치 경제가 리스크로 떠올랐지만 한국 스타트업들의 일본 정보기술(IT) 시장 진출 열기는 여전히 뜨겁다. AI 시장 선점을 원하는 일본 정부가 디지털 전환(DX)에 과감하게 투자하며 유망 기업들을 전략적으로 끌어당기고 있어서다.



국내 스타트업 관심 시장 북미>동남아>일본 순

그래픽=한국일보

그래픽=한국일보

6일 한국무역협회의 '스타트업 수출 현황 및 수출 활성화 정책 제언'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스타트업이 관심 있는 수출 시장 순위에서 일본(42.4%·중복응답)이 3위를 차지했다. 1,000달러 이상 수출하는 스타트업 349개사를 대상으로 올해 4월 15~24일 설문조사한 결과다.

해외 진출을 준비하는 스타트업들은 1위 북미(56.1%)나 2위 동남아(46.4%) 시장을 가장 염두에 두고 있었지만 4위를 차지한 중국(38.1%)이나 유럽연합(37.5%)보다 일본 진출을 바랐다. 올해 3월 5일 일본 정부가 라인야후에 '네이버와의 자본 관계를 재검토하라'며 1차 행정지도를 발표한 후 일본 정부의 관치 경제에 대한 우려가 커졌지만 여전히 일본 진출을 선호하는 스타트업이 많다는 의미다.

이런 현상은 일본 정부가 IT 기업을 유인할 당근책을 내놓고 있기 때문이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KOTRA)의 '일본 디지털 전환(DX) 전략과 새로운 진출 기회' 보고서를 보면 일본 정부는 DX 투자촉진세제(클라우드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관련 투자에 대해 3%의 세액 공제 혹은 30%의 특별상각 인정), 중소기업경영강화세제(소프트웨어를 포함한 설비투자 전액에 대해 즉시상각 또는 10%의 세액 공제 인정) 등 IT 관련 세제 혜택을 도입했다. 'DX 인증제도'를 통해 설비투자 자금 융자 금리도 우대해준다.



디지털 인력 부족한 일본, 한국에 기회요인 될까

라인야후가 입주해 있는 일본 도쿄 지요다구의 도쿄가든테라스기오이타워에 사람들이 들어가고 있다. 도쿄=연합뉴스

라인야후가 입주해 있는 일본 도쿄 지요다구의 도쿄가든테라스기오이타워에 사람들이 들어가고 있다. 도쿄=연합뉴스


일본은 디지털 인력과 기술이 부족하다 보니 해외 DX 기업 유치에 적극적이다. 스타트업 육성·지원 정책을 이끄는 부처인 스타트업담당국의 주요 업무 중 하나가 해외 기업의 일본 진출을 돕는 일일 정도다. 이 때문에 코트라는 보고서에서 "일본은 제조공정 자동화나 물류 효율화부터 승차 공유, 노인 간병 모니터링 등 전 산업에 걸쳐 디지털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며 "우리 기업에 기회 요인"이라고 봤다. 일본 진출을 준비하는 국내 스타트업 관계자도 "한국은 이미 DX 전환을 이뤄 시장이 정체됐지만 일본은 시작 단계에서 선점하고 싶어 하는 플랫폼사가 많다"고 말했다.

다만 라인야후 사태가 보여주듯 데이터 보안 문제는 국내 기업이 주의해야 할 점으로 꼽힌다. 라인야후의 개인정보 유출은 네이버클라우드 협력사 개인용컴퓨터(PC)에 몰래 심어져 있던 악성코드가 네이버클라우드 서버를 타고 라인 시스템에 접근하면서 발생했다. 강철호 원티드 재팬 대표는 "라인야후 사태는 일본 기업과 국민들이 개인정보 문제에 대해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음을 보여준다"면서 "앞으로 일본 진출을 준비하는 스타트업이 보안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언제든 문제의 당사자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지현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