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비서 시대 연다"...LG유플러스, 챗봇서 진화한 챗 에이전트 서비스 출시

입력
2024.04.08 16:00
17면
구독

LGU+ 상담 에이전트 등 4종…AI 에이전트 라인업 첫 주자

LG유플러스가 요금제 추천 등 가입자의 서비스 문의에 효율적으로 응대할 수 있는 생성형 인공지능(AI) 챗봇을 상반기 출시한다. LG유플러스 제공

LG유플러스가 요금제 추천 등 가입자의 서비스 문의에 효율적으로 응대할 수 있는 생성형 인공지능(AI) 챗봇을 상반기 출시한다. LG유플러스 제공


LG유플러스는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AI) 기술 익시(ixi)를 바탕으로 한 '챗 에이전트' 서비스 4종을 출시한다고 8일 밝혔다.

성준현 LG유플러스 AI·데이터프로덕트 담당(상무)은 이날 온라인 간담회에서 "AI 에이전트는 단순한 질의응답에 그친 봇(Bot)에서 한 단계 진화해 사람이 정해주지 않는 업무도 한다"며 "AI를 통해 차별적 고객 가치를 창출하고 일하는 방식도 바꿀 것"이라고 말했다.

새로 출시한 AI 에이전트는 새로운 질문이나 명령을 스스로 이해하고 판단하는 업무가 가능하다는 게 LG유플러스의 설명이다. 특히 거대언어모델(LLM) 기반의 AI 기술을 활용해 시나리오에 없는 전문적인 질문과 명령도 이해할 수 있다. 고객의 문의 내용을 기존 봇 수준의 AI 기술을 쓸지 LLM으로 처리할지까지도 AI 에이전트가 알아서 결정해 답변할 때까지 필요한 비용도 아낀다.

간담회에서는 해외 로밍 요금제를 AI에이전트로 추천받는 상황이 소개됐다. 고객이 "로밍 요금제를 알려줘"라고 문의하면 방문 예정인 국가와 기간, 과거 사용 내용 등 정보를 바탕으로 "가장 인기가 좋은 요금제는 B 요금제지만 OO님은 주로 비즈니스 출장이 많아 데이터가 넉넉한 A 요금제가 좋을 것 같아요"와 같이 답변이 나온다.

LG유플러스는 △U+상담 에이전트 △장애상담 에이전트 △유독(구독 플랫폼) AI 상품추천 에이전트 △U+비즈마켓 솔루션 안내 에이전트 등 4종의 챗 에이전트 서비스를 우선 출시한다. 올해 하반기에는 온라인 선불 요금제 ‘너겟’ 요금제 상담, 소상공인(SOHO) 기업 고객 상담을 위한 챗 에이전트도 출시할 예정이다.

LG유플러스는 챗 에이전트 서비스로 상담사 연결로 전환되는 비율이 획기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에 출시한 챗 에이전트를 사내 업무나 자사의 서비스에 우선 적용해 AI 전환(AX) 혁신을 이끌고 기업간거래(B2B) 영역으로 사업 확장도 준비 중이다.

성 상무는 "챗 에이전트 플랫폼의 강점 중 하나가 플랫폼 호환성"이라면서 "기존에 없던 새롭고 차별적인 고객 경험을 창출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윤주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