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코리아가 태풍의 눈 지우고 로장주 엠블럼 다는 까닭은

입력
2024.04.04 11:00
구독

르노 DNA로 새출발..."3년 동안 매년 1개 이상 신차"
삼성자동차의 유산과 완전한 결별 선언 의미
6월 부산모빌리티쇼서 오로라 첫모델 공개

르노코리아 로장주 엠블럼이 아르카나 모델 앞 그릴에 달려 있다. 르노코리아 제공

르노코리아 로장주 엠블럼이 아르카나 모델 앞 그릴에 달려 있다. 르노코리아 제공


르노코리아자동차가 회사 이름과 엠블럼을 바꾸고 프랑스 브랜드의 정체성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3일 알렸다.

르노코리아자동차는 이날 서울 성동구 성수동에 위치한 자동차 전시장 '르노 성수'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런 계획을 전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스테판 드블레즈(Stephane Deblaise) 르노코리아 사장을 비롯해 아르노 벨로니(Arnaud Belloni) 르노 브랜드 마케팅 총괄 부사장, 질 비달(Gilles Vidal) 르노 브랜드 디자인 총괄 부사장 등 프랑스 르노 본사의 주요 임원들도 참석했다.

이날 르노코리아자동차는 사명을 '르노코리아'로 교체하고 공식 엠블럼을 태풍의 눈 모양에서 다이아몬드 형상의 '로장주'(losange)로 바꾼다고 밝혔다. 프랑스어로 마름모를 뜻하는 로장주는 르노가 20세기 초반부터 사용해 온 공식 상징물이다. 르노는 2000년 삼성자동차를 인수한 후에도 국내 인지도를 고려해 기존 태풍의 눈 엠블럼을 그대로 유지해 왔다.

르노코리아 관계자는 "완성차 제조·판매사를 넘어 모빌리티 브랜드로 도약하고 125년 역사의 프랑스 자동차 브랜드 르노의 가치를 적극적으로 공유하기 위해 이런 결정을 했다"고 설명했다.



3일 서울 성동구 성수동 '르노성수'에서 스테판 드블레즈(가운데) 르노코리아 사장과 아르노 벨로니(왼쪽) 르노 브랜드 마케팅 총괄 부사장, 질 비달 르노 브랜드 디자인 총괄 부사장이 '뉴 르노 아르카나' 모델 앞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르노코리아 제공

3일 서울 성동구 성수동 '르노성수'에서 스테판 드블레즈(가운데) 르노코리아 사장과 아르노 벨로니(왼쪽) 르노 브랜드 마케팅 총괄 부사장, 질 비달 르노 브랜드 디자인 총괄 부사장이 '뉴 르노 아르카나' 모델 앞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르노코리아 제공


이에 따라 르노코리아는 국내 시장에서 판매 중인 모델도 일부 변경한다.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XM3는 글로벌 모델과 동일하게 '뉴 르노 아르카나'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출시된다. 엠블럼도 로장주로 바뀐다. 중형 SUV QM6는 기존 모델명은 유지하되 로장주 엠블럼을 적용해 '뉴 르노 QM6'로 교체한다.

르노코리아는 또 새로운 하이브리드 SUV를 올해 하반기 출시할 계획도 알렸다. 이 모델은 하이브리드 신차 프로젝트 '오로라'의 첫 결과물로 6월 부산모빌리티쇼에서 첫선을 보일 예정이다. 르노코리아 측은 전동화, 커넥티비티 기술 등을 포괄하는 새로운 브랜드 전략 '일레트로 팝'(Electro Pop)이 적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2025년 상반기에는 르노의 전기차 '세닉 E-테크'도 국내로 들여온다. 드블레즈 사장은 "앞으로 3년 동안 매년 최소 1개 이상의 신차를 선보일 계획"이라며 "한국은 르노 생태계의 하나로 르노 최고의 차량들만 보여드리겠다"고 말했다.


르노코리아가 서울 성동구 성수동에 만든 국내 첫 플래그십 스토어 '르노 성수' 외관 모습. 르노코리아 측은 "외관은 프랑스 작가 빅토르 바자렐리의 작품에서 영감을 얻은 독특한 패턴으로 꾸며졌으며 내부는 가구와 장식 등 곳곳에 한국적 아름다움을 담았다"고 설명했다. 르노코리아 제공

르노코리아가 서울 성동구 성수동에 만든 국내 첫 플래그십 스토어 '르노 성수' 외관 모습. 르노코리아 측은 "외관은 프랑스 작가 빅토르 바자렐리의 작품에서 영감을 얻은 독특한 패턴으로 꾸며졌으며 내부는 가구와 장식 등 곳곳에 한국적 아름다움을 담았다"고 설명했다. 르노코리아 제공


한편 르노코리아가 지난달 부산시와 미래차 생산기지 구축을 위해 체결한 업무협약에 대해 묻는 기자의 질문에 드블레즈 사장은 "현재까지 5억 유로(약 7,200억 원)에 대한 투자가 확정됐다"며 "향후 10억 유로(약 1조5,000억 원) 규모로 늘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부산시와 협업해 미래차 생산을 위한 발판을 원활하게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강희경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