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기술센터 만든 포스코DX "산업현장 인공지능 전환 이끈다"

입력
2024.03.06 20:00
15면
구독

AI기술센터, 인지·판단·제어 AI엔진 개발
철강·물류 등 산업 특화한 융합 AI 확산

윤일용 포스코DX AI기술센터장이 6일 서울 종로구에서 열린 '포스코DX AI 테크 데이'에서 비전 및 전략을 설명하고 있다. 포스코DX 제공

윤일용 포스코DX AI기술센터장이 6일 서울 종로구에서 열린 '포스코DX AI 테크 데이'에서 비전 및 전략을 설명하고 있다. 포스코DX 제공


앞으로 자동화를 넘어 사람 개입 없이 인지·판단·제어할 수 있는 자율형 공장으로 혁신해야 한다.

윤일용 포스코DX AI기술센터장


윤일용 포스코DX AI기술센터장(상무)은 6일 서울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AI가 가져온 제조업 현장의 변화 흐름을 언급하며 "현재 AI 소프트웨어 기술로는 한계가 있지만 포스코DX는 전통 기술과 하드웨어에 AI를 더하는 융합 AI에 강하고 이 분야 경쟁력도 충분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포스코그룹의 정보기술(IT)·엔지니어링 전문 기업인 포스코DX는 이날 산업 현장의 디지털전환(DX)을 넘어 인공지능전환(AX)에 속도를 낸다는 의지를 밝혔다. 앞으로 철강, 이차전지 소재, 물류 등 산업 현장에 특화한 산업용 AI를 널리 퍼뜨릴 계획이다.

포스코DX는 올해 기존 AI 조직을 확대 개편해 AI 기술센터를 새로 만들었다. 데이터를 통해 산업 현장을 자율화·무인화·최적화하는 게 목표다.



인지·판단·제어 AI 엔진 개발해 현장 적용 실험

포스코DX AI기술센터 연구원들이 산업용AI가 적용된 크레인 모의장치를 시연하고 있다. 포스코DX 제공

포스코DX AI기술센터 연구원들이 산업용AI가 적용된 크레인 모의장치를 시연하고 있다. 포스코DX 제공


AI기술센터는 현재 인지(Vision Intelligence)·판단(Decision Intelligence)·제어(Control Intelligence) 등 3개 분야 AI 엔진을 개발해 다양한 현장에 적용하고 있다.

①인지 AI는 '현장의 눈' 역할을 한다. 넓은 현장을 가진 중후장대 산업에 적합한 3D 영상 데이터에 대한 딥러닝 기술을 접목해 활용할 수 있다. 실제로 포스코의 제철소 내에선 철강재 수십 톤을 옮기는 크레인과 이차전지 소재 공장 등에서 운영하는 산업용 로봇에 인지AI를 적용해 성과를 내고 있다고 한다.

②판단AI는 논리적 추론 기술을 말한다. 공장 생산성 향상과 직결되는 작업 순서와 설비 할당 등을 판단하고 제조업 특화 대형언어모델(LLM) 기술을 통해 설비 정보와 이상 현상 사이의 관계를 추출·추론하는 기술을 만들고 있다. ③제어AI 분야에서는 설비의 최적 운전을 위해 고숙련 작업자들의 노하우를 딥러닝함으로써 효율적 생산 활동이 이뤄지도록 돕고 있다.

윤 센터장은 "AI기술센터가 철강, 이차전지 소재 등 중후장대 산업 현장에 특화한 독창적 AI 기술을 개발, 확산하는 데 앞장설 것"이라며 "포스코DX가 산업용 AI 전문 기업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지현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