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언어 장벽 뛰어넘는다' AI 자동 통역 서비스 속속 등장

입력
2024.02.06 17:24
구독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언어의 장벽을 뛰어 넘으려는 시도가 국내외에서 잇따르고 있다.

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외국어를 몰라도 외국인과 자유롭게 대화할 수 있도록 AI가 실시간으로 통역을 해주는 서비스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로블록스, 삼성전자, SK텔레콤, 엑스엘에이트 등 국내외 업체들은 잇따라 AI를 이용한 실시간 자동 통역 및 번역 서비스를 선보였다.

가상공간(메타버스) 안에서 게임과 대화를 하며 친구를 사귈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블록스는 자체 개발한 AI가 우리말을 포함해 16개 언어로 실시간 자동 번역을 해주는 기능을 새로 선보였다. 따라서 외국어를 모르는 이용자들도 각자의 언어로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내 이용자가 대화창에 한글을 입력하면 영어나 독일어 등 상대방이 선택한 언어로 표시된다.

로블록스는 이 기능을 통해 전세계 이용자들 사이에 활발한 교류가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로블록스는 전 세계 180개국에서 매일 7,000만 명이 접속해 24억 개에 이르는 대화문을 주고 받는다. 이 가운데 3분의 1은 서로 다른 언어로 소통한다. 대니얼 스터먼 로블록스 최고기술책임자는 "AI 자동 통역 덕분에 현실세계에서 불가능한 일이 가상세계에서 가능해졌다"며 "서로의 언어장벽을 극복할 수 있게 됐다"고 평가했다.

로블록스에서 6일 공개한 AI 실시간 자동통역 서비스 이용 화면. 로블록스 제공

로블록스에서 6일 공개한 AI 실시간 자동통역 서비스 이용 화면. 로블록스 제공

삼성전자와 SK텔레콤도 AI를 이용한 실시간 자동 통역을 제공한다. 삼성전자는 신형 스마트폰 '갤럭시S24'에 이 기능을 기본 탑재했으며 SK텔레콤은 자체 AI 서비스 '에이닷'을 통해 제공한다. 두 서비스 모두 이용자가 모국어로 말하면 상대방에게 사전 선택한 외국어로 전달된다.

영상 속 외국어를 AI가 자동 번역해주는 기술도 나왔다. AI 번역 기술을 개발하는 신생기업(스타트업) 엑스엘에이트가 지난해 말 선보인 AI 실시간 자동 번역 서비스는 영상 속 언어를 45개 언어로 표시해 준다. 따라서 외국 영화나 방송 등을 편하게 볼 수 있다. 이 업체는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에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와 협업 중이다.

하지만 AI 실시간 자동 통역 및 번역 서비스가 넘어야 할 장벽들이 있다. 이용자들에 따르면 사람 이름이나 지명, 상표 등 고유명사를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가 일부 서비스에서 나타나고 있다. 또 AI가 얼마나 정확하게 통역했는지 확인할 길이 없어 오해 발생의 소지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AI 실시간 자동 통역 서비스가 등장한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용자들의 반응을 통해 기술을 개선해야 할 것"이라며 "대명사 인식 오류 등은 꾸준한 기계학습을 통해 서비스 품질을 끌어올리는 수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최연진 IT전문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