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홍백전서 퇴출된 '자니즈'… 우리의 칼은 과연 정의로울까?

입력
2024.01.20 04:30
13면

<105>연예인과 미디어, 위험스러운 ‘양날의 칼’

편집자주

우리에게는 가깝지만 먼 나라 일본. 격주 토요일 연재되는 ‘같은 일본, 다른 일본’은 미디어 인류학자 김경화 박사가 다양한 시각으로 일본의 현주소를 짚어보는 기획물입니다.


일본 연예계에서 성착취 논란을 불러일으킨 기획사 자니즈에 대한 매스미디어의 응징은 한편으로는 통쾌하면서도, 한국 현실과 비교하면 씁쓸한 측면도 있다. 일러스트 김일영

일본 연예계에서 성착취 논란을 불러일으킨 기획사 자니즈에 대한 매스미디어의 응징은 한편으로는 통쾌하면서도, 한국 현실과 비교하면 씁쓸한 측면도 있다. 일러스트 김일영

◇홍백전은 왜 자니즈를 퇴출했을까?

일본에서 한 해를 마무리하는 연례 행사라면 ‘NHK 홍백가합전’(이하 ‘홍백전’)을 빼놓을 수 없다. 공영 전파인 NHK에서 매년 섣달그믐날 밤에 내보내는 생방송 쇼 프로그램이다. 1951년 첫 방송을 시작한 이래 70년이 넘도록 단 한 해도 빠짐없이 전파를 탔다. 남녀 가수가 각각 홍팀, 백팀으로 나뉘어 퍼포먼스를 겨루고, 심사위원과 시청자의 투표로 마지막에 승패가 정해진다. 한때 전국 시청률이 80%에 육박할 정도로 독보적인 연말 행사였는데, 유튜브나 넷플릭스 등 오락 플랫폼이 다양해진 지금도 매년 40%에 가까운 시청률을 자랑한다.

한 해 동안 눈에 띄는 활약을 보여준 40여 팀의 아티스트들이 총출연하는 만큼, 어떤 팀이 홍백전에 초청받는지도 매년 화제가 된다. ‘엔카’(演歌, 트로트와 비슷한 일본의 대중음악 장르)부터 록밴드, 댄스 아이돌까지 장르도 총망라하는데, 케이팝이 일본에서 인기를 끌면서 한국 출신 아티스트도 드물지 않게 출연자로 이름을 올려 왔다. 이웃나라의 연말 생방송에 출연하는 것이 뭐 그리 대단한 일이냐 싶기도 하지만, 일본 대중음악 시장의 규모가 꽤 큰 만큼 아티스트들에게는 반가운 일이라고 한다. 제이팝(J-Pop, 일본 대중음악의 별칭)을 좋아하는 국내 팬 중에도 홍백전을 보며 새해를 맞이한 경우가 있지 않을까?

그런 홍백전에 지난해 이변이 있었다. 연예기획사 ‘자니즈 사무소’(이하 자니즈) 출신 아티스트의 모습을 볼 수 없었다. 자니즈는 1960년대에 설립되어 지금까지 일본 대중음악계에서 압도적인 영향력을 발휘해 온, 제이팝의 살아 있는 역사라고 할 수 있는 거물 기업이다. 소년대, SMAP, 아라시 등 해외에도 잘 알려져 있는 유명 아티스트들을 발굴, 배출했다. 그러다 보니 자니즈 출신 연예인들은 매년 홍백전에 등장해 왔다. 가수로서는 물론이요, 사회자도 자니즈 출신이 많았다. 그런데 지난해에는 단 한 팀도 출연진으로 이름을 올리지 못한 것이다. 어떻게 된 것일까?


◇ 자니즈 설립자의 성착취 문제, 오래도록 침묵한 일본 언론도 ‘유죄’

자니즈의 설립자이자 대표 프로듀서였던 기타가와 자니즈(喜多川ジャニー, 2019년 사망)가 어린 남자 연습생들을 성적 노리개로 삼는다는 소문은 꽤 오래전부터 떠돌았다. 1980년대부터 피해 당사자가 인터뷰 기사나 저서를 통해 성착취 사실을 여러 번 폭로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런 의혹이 불거질 때마다 일본의 주요 언론은 약속이라도 한 듯 침묵했고, 자니즈 측도 폭로 기사를 게재한 주간지를 명예 훼손으로 고소하는 등 강경한 자세를 굽히지 않았다.

그런데, 지난해 3월 영국의 공영방송 BBC가 자니즈의 성착취 문제를 심층 취재한 장편 다큐멘터리를 방영한 뒤 분위기가 일변했다. 일본 국내 매스미디어가 외면해 온 사안이 해외 언론을 통해 수면 위로 올라온 것이다. 4월에는 한때 자니즈에 소속되었던 아이돌 가수가 본명과 얼굴을 드러내며, 회사 대표의 범죄를 폭로하고 자신의 피해를 고백하는 외신 기자 회견을 열었다. 뒤이어 7월에는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이 일에 대한 공식 조사단을 도쿄에 파견했다. 이번에는 일본 국내 언론도 사안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적극적으로 보도에 나섰다. 이 문제가 국내외에서 공론화하면서 자니즈도 입장을 밝혀야만 하는 상황이 되었다.

자니즈는 9월에 정식으로 기자 회견을 갖고 기타가와가 수십여 년 동안 어린 남자 연습생들을 성적으로 착취해 온 것이 사실이라고 인정했다. 피해자가 400명이 넘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미 세상을 떠난 범죄자를 법적으로 처벌할 방법은 없다. 새 경영진이 앞장서 피해자에게 사죄와 보상을 약속하는 한편, 이 일을 계기로 경영진과 사업을 일신하겠다고 결의를 밝혔다. 피해자의 아픈 기억을 자극한다는 비판을 수용해서 회사 이름도 ‘스마일업’이라고 바꾸었다. 하지만 일본 사회의 반응은 대체로 싸늘하다. 수십 년 동안 한 조직에서 일했으면서 회사 대표의 성범죄를 전혀 몰랐다는 경영진의 설명도 납득이 가지 않을뿐더러, 자니즈에서 성장해서 유명세를 누려온 중견급 아티스트들이 성착취를 방조하거나 도왔다는 의혹도 제기되었다.

기업들은 앞다투어 자니즈 소속 연예인과의 광고 계약을 갱신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자니즈 출신 아티스트가 단 한 명도 홍백전에 초대받지 않은 것도 비슷한 상황이다. 범죄를 저지른 장본인은 회사 대표인데, 애꿎은 소속 연예인들이 활동 기회를 박탈당하는 것이 과연 적절한가라는 의문도 생긴다. 다만, 일본에는 조직이나 집단의 허물에 대해 구성원의 공동 책임을 묻는 문화가 있다. 설립자의 성범죄가 적나라하게 밝혀진 만큼, 소속 연예인들이 예전처럼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여지는 현저하게 좁아진 것이 사실이다. 언젠가 부활할 가능성도 없지는 않겠지만 적어도 지금은 자니즈의 몰락을 말하는 사람이 대다수다.

사실 이 자니즈 사태는 지난해 일본 사회를 들끓게 만든 가장 큰 뉴스 중 하나였다. 연예계를 대표하는 거물 프로듀서가 어린 남자 연습생을 성 노리개로 삼아 왔다는 사실은 그 자체로 자극적이다. 다만, 자니즈의 설립자가 부적절한 ‘남색’에 몰두한다는 망측한 소문은 수십 년 전부터 나돌았다. 이제 와서 소문이 사실로 드러났다는 것이 놀랍다기보다는, 성착취가 일어난다는 것을 눈치챘을 가능성이 큰 연예계 관계자와 언론이 수십 년 동안 그 사실을 은폐했다는 것에 대한 실망과 분노가 더 크다. 일본의 매스미디어 전반적으로 ‘남성 간의 성 추문’을 거론하는 것 그 자체를 꺼려하는 분위기가 있다는 변론도 있다. 하지만 그것이 추악한 성범죄를 은폐해 왔다는 사실의 정당한 변명은 될 수 없다. 사실 이번 사태도 해외 언론 BBC의 심층 보도에서 시작되지 않았는가?


◇미디어와 연예인의, ‘양날의 칼’과 같은 관계

일본의 자니즈 사태는 미디어와 연예인의 밀월 관계가 실은 매우 아슬아슬하고 위험한 ‘양날의 칼’과도 같다는 사실을 상기시킨다. 자니즈는 매스미디어를 최대한으로 활용해 연예인을 키웠고, 그 과정 속에서 굳건하게 형성된 ‘카르텔’ 속에서 성범죄를 은폐했다. 그런데, 거꾸로 그런 부적절한 관계를 폭로한 것 역시 매스미디어(다만, ‘카르텔’의 외부에 존재하는 해외 언론)였고, 결과적으로 자니즈는 매스미디어에서 퇴출되며 이대로 몰락할 지경에 이르렀다.

미디어는 연예인을 키울 수도 있고, 그의 범죄를 은폐할 수도, 혹은 그를 사회적으로 매장할 수도 있다. 그래도 이번 자니즈 사태에서는 미디어에 의해 범죄가 만천하에 드러났다. 너무 늦었다는 아쉬움은 있지만 ‘양날의 칼’이 정의로운 방향으로 움직였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싶다. 반면, 얼마 전 한국에서는 그 어떤 범죄 혐의도 확인되지 않은 배우가, 지극히 개인적인 일에 불과한 사생활을 마구잡이로 폭로하는 미디어의 ‘횡포’를 견디다 못해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일이 있었다. 과연 그 ‘양날의 칼’도 정의롭다고 할 수 있겠는가? 심경이 복잡하다.

김경화 미디어 인류학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