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23% 한동훈 21%... 서울은 접전, 경기·인천은 李 우세 [한국일보 신년 여론조사]

입력
2024.01.02 04:30
3면
구독

[차기 대통령감으로 누가 적합한가]
한동훈 비대위 '컨벤션 효과'에 접전
서울은 오차범위, 경기·서울은 李 우위
여야 지지율도... 수도권 표심 서로 달라
중도층서도 李 앞서... 韓 확장성 과제

이재명(왼쪽)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달 2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민주당 대표실을 예방한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악수를 나누고 있다. 뉴시스

이재명(왼쪽)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달 2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민주당 대표실을 예방한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악수를 나누고 있다. 뉴시스

차기 대선주자 지지율 조사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23%)와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21%)이 오차범위 내 접전을 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야의 간판인 이 대표와 한 위원장 지지율이 각 정당 지지율 못지않게 호각세를 보임에 따라, 4월 총선 결과는 더 예측하기 어려운 혼전 양상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커졌다.

이재명과 한동훈 양강구도 양상

한국일보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신년 여론조사에서 ‘차기 대통령감으로 적합한 인물’을 묻는 질문에 이 대표는 23%, 한 위원장은 21%로 양강 체제를 형성했다. 지난해 10월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를 계기로 국민의힘에 경고등이 켜진 이후 가팔라지던 한 위원장의 상승세가 지난달 26일 비대위원장 취임으로 탄력을 받는 모양새다. 2022년 5월 대선 이후 지속된 이 대표 독주체제는 깨졌다.

이 같은 양강 구도에 더해 범보수층에서는 홍준표 대구시장(6%)과 오세훈 서울시장(5%),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유승민 전 의원(3%),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2%)가 뒤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범진보층에서는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4%)에 이어 김동연 경기지사(3%), 조국 전 법무부 장관(2%)이 뒤를 이었다.

범진보·범보수 차기 대통령 감으로 적합한 인물. 그래픽=강준구 기자

범진보·범보수 차기 대통령 감으로 적합한 인물. 그래픽=강준구 기자

특히 지역별로 살펴보면 여야 대선주자와 정당 지지율에서 눈에 띄는 차이점이 드러난다. 먼저 수도권에서는 서울과 경기·인천의 양상이 달랐다. 서울에서 이 대표(25%)와 한 위원장(21%) 지지율이 오차범위 안에 있어 우열을 가리기 어려웠지만, 경기·인천에서는 이 대표(24%)가 한 위원장(17%)을 7%포인트 격차로 앞서 오차범위를 벗어났다.

정당 지지율도 비슷한 패턴을 보였다. 서울에서 국민의힘(36%)과 민주당(35%)이 접전이었지만, 경기에서는 민주당(37%)이 국민의힘(27%)을 10%포인트 앞서는 것으로 조사됐다. 통상 같은 수도권으로 묶이지만 서울과 경기·인천의 민심이 다르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여야가 양측 지역을 차별화된 전략으로 접근해야 총선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것이다. 수도권은 121석(서울 49석, 경기 59석, 인천 13석)이 걸린 총선 최대 승부처다.

역대 선거 때마다 캐스팅보트 역할을 했던 충청 표심도 혼전 양상이었다. 대선주자 지지율에서 한 위원장(29%)이 이 대표(21%)를 8%포인트 앞섰지만, 정당 지지율에서는 민주당(36%)과 국민의힘(34%)이 우열을 가리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탈 민주와 이탈 보수 흐름도 차이 보여

이념 성향별로는 중도층에서 이 대표(22%)가 한 위원장(15%)에 우위를 보였다. 정당 지지율에서 민주당(34%)이 국민의힘(21%)을 압도하는 것보다는 작지만, 중도층 확장이 한 위원장의 최대 숙제라는 점을 재차 입증하는 수치다. 2022년 지방선거에서 국민의힘을 선택했다가 이탈한 지지층의 16%가 이 대표를 지지한 반면, 2020년 총선에서 민주당을 지지했다가 이탈한 지지층의 24%가 한 위원장을 지지한다고 응답한 것도 주목할 만한 대목이다.

정한울 한국사람연구원장은 “한 위원장이 ‘뉴 보수’ 이미지를 통해 지방선거 이후 떨어져 나간 지지층을 끌어올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윤석열 대통령을 변화시키겠다는 메시지가 빠지고, ‘386 때문’이라는 엉뚱한 문제 진단을 내놓는 구도라면 시간이 지날수록 제 역할을 하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여론조사 배너

여론조사 배너


박세인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